인간의 남성이 여성보다 대체로 키가 크고 근육질이고 스포츠에 강한 관심을 갖고 공간을 인지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도 DNA의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앞에서 ‘포유류의 암컷은 다른 수컷보다 힘이 세고, 먹이를 사냥하는 능력이 탁월하고, 암컷 자신과 새끼를 적으로부터 보호해줄 만한 수컷을 선택한다’고 소개했는데, 인간 여성이 남성을 선택하는 기준도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반대로 육체가 풍만한 여성에게 남성이 매력을 느끼는 이유도 글래머가 여성의 성 성숙도와 생식 능력을 나타낸다고 보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미녀가 인기가 많은 것도 얼굴이나 몸매의 아름다움은 건강하다는(유전적으로도) 증거가 되고, 앞으로 태어날 아기 역시 미인으로 인기를 얻게 되어 자신의 DNA를 오래오래 남길 수 있다고 예측한다. 

마찬가지로 여성이 잘생긴 남성을 좋아하는 이유도 앞으로 태어날 2세 역시 미남으로 여성에게 인기를 끌어서 자신의 DNA를 더 많이 남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도 모른다. 아니 DNA가 그렇게 시키는 것인지도 모른다.

출처: <내 몸 안의 생명원리 - 인체 생물학>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요시다 구니히사

이학박사. 1940년에 일본에서 태어나 도쿄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스루가다이대학교에서 ‘생명과학’, ‘생명 조작의 빛과 그림자’, ‘인간(인체)생물학’ 등을 강의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현대문화학부장, 대학 부학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스루가다이대학교 명예교수 및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오랫동안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집필진으로 맹활약했으며, 일본에서는 생물 교육의 정통한 권위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비전공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생물학, 일반인의 관점에서 궁금해 하는 생물학을 추구하며 책을 펴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생물, 새롭게 생각하는 문제 100선》 《생물, 생각하는 실험 문제 50선》 《생물 용어집》 《좋아지는 생물학》 등이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포유류에서 생각한다면, 수컷 입장에서는 어떤 암컷을 선택할까? 건강하고 생식 능력이 뛰어나고 자손을 보호하며 잘 키울 것 같은 암컷을 고를 것이다. 반대로 암컷은 다른 수컷보다 힘이 세고, 먹이를 사냥하는 능력이 탁월하고, 암컷 자신과 새끼를 적으로부터 보호해줄 만한 수컷을 선택할 것이다.

실제로 수컷의 수는 암컷의 수보다 적어도 괜찮으니까(여러 암컷과 교미하면 될 테니까) 수컷끼리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일삼는다.

결과적으로 앞서 소개한 특징을 나타내는 유전자 DNA를 갖춘 수컷이 최종 선택되고 또 암컷과 교배하여 자손을 남기기 때문에 수컷은 암컷보다 몸집이 크고 공격적이며 움직임이 날쌔고 먹이를 찾는 능력이 뛰어나며, 교미 전에는(!) 암컷에게 잘 보이려고 애정공세를 펼치게 된다.

한편 암컷은 양육 능력이 앞선다는 점을 최대한 과시하고, 수컷이 호감을 느낄 만한 매력을 갖추려고 한다.

출처: <내 몸 안의 생명원리 - 인체 생물학>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요시다 구니히사

이학박사. 1940년에 일본에서 태어나 도쿄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스루가다이대학교에서 ‘생명과학’, ‘생명 조작의 빛과 그림자’, ‘인간(인체)생물학’ 등을 강의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현대문화학부장, 대학 부학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스루가다이대학교 명예교수 및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오랫동안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집필진으로 맹활약했으며, 일본에서는 생물 교육의 정통한 권위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비전공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생물학, 일반인의 관점에서 궁금해 하는 생물학을 추구하며 책을 펴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생물, 새롭게 생각하는 문제 100선》 《생물, 생각하는 실험 문제 50선》 《생물 용어집》 《좋아지는 생물학》 등이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나라에 따라서는 전쟁이 끝나고 나서도) 민족이나 국민 전체의 유전적인 자질을 높이고 열악한 유전자를 줄이려는 우생정책이 일본을 포함해 전 세계에서 자행되었다.

미국이나 나치 독일에서는 명확한 유전병은 물론이고 지적장애인이나 성범죄자, 알코올의존증 환자도 강제적 혹은 반강제적으로 단종 수술을 받게 했다. 일본에서는 만성 전염병인 한센병 환자에게까지 단종 수술을 감행했다. 나치가 저지른 유태인 대학살도 우생학의 사고방식이 배경에 깔려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우생정책으로 이상 유전자를 줄일 수 없다는 사실이 만천 하에 밝혀졌으니 감각적 혹은 감정적으로 우생정책에 동요되지 않게끔 주의해야 한다.

지금은 우생정책을 실행한 사람들을 악마로 여기지만, 그때는 민족과 인류에게 이로운 일이라고 믿었다. 집단광기라고 해야 할까? 이런 일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당시의 만행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출처: <내 몸 안의 생명원리 - 인체 생물학>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요시다 구니히사

이학박사. 1940년에 일본에서 태어나 도쿄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스루가다이대학교에서 ‘생명과학’, ‘생명 조작의 빛과 그림자’, ‘인간(인체)생물학’ 등을 강의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현대문화학부장, 대학 부학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스루가다이대학교 명예교수 및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오랫동안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집필진으로 맹활약했으며, 일본에서는 생물 교육의 정통한 권위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비전공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생물학, 일반인의 관점에서 궁금해 하는 생물학을 추구하며 책을 펴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생물, 새롭게 생각하는 문제 100선》 《생물, 생각하는 실험 문제 50선》 《생물 용어집》 《좋아지는 생물학》 등이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가느다란 끈처럼 생긴 DNA는 그림 1-2처럼 이중나선 구조로 되어 있다.

먼저 데옥시리보스-인산-데옥시리보스-인산식으로 배열된 두 가닥의 중심 사슬이 서로 반대 방향을 가리키며 DNA의 뼈대, 즉 사다리 모양을 이루고, 데옥시리보스에서 아데닌(adenine, A), 티민(thymine, T), 구아닌(guanine, G), 사이토신(cytosine, C)이라는 4가지 염기가 서로 볼트와 너트처럼 A-T, G-C 식으로 쌍을 이루며 결합하여 사다리의 가로대 모양을 완성한다.

이때 두 가닥의 사슬이 서로 올록볼록 이어진 약한 화학 결합을 수소 결합이라고 부르고, AT 혹은 GC처럼 서로 끌어당기는 2개의 염기를 상보적 염기쌍이라고 말한다.

이와 같은 이중나선 구조는 1953년에 미국의 분자생물학자 제임스 왓슨(James Watson, 1928~ )과 영국의 분자생물학자 프랜시스 크릭(Francis Crick, 1916~2004)이 발견했는데, 바로 이 역사적인 발견이 분자유전학의 시초로 일컬어진다. 한편, DNA의 이중나선모형이 발표된 이후 어떻게 유전정보가 전달되는지 그 과정이 조금씩 밝혀졌다.

출처: <내 몸 안의 생명원리 - 인체 생물학>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요시다 구니히사

이학박사. 1940년에 일본에서 태어나 도쿄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스루가다이대학교에서 ‘생명과학’, ‘생명 조작의 빛과 그림자’, ‘인간(인체)생물학’ 등을 강의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현대문화학부장, 대학 부학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스루가다이대학교 명예교수 및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오랫동안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집필진으로 맹활약했으며, 일본에서는 생물 교육의 정통한 권위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비전공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생물학, 일반인의 관점에서 궁금해 하는 생물학을 추구하며 책을 펴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생물, 새롭게 생각하는 문제 100선》 《생물, 생각하는 실험 문제 50선》 《생물 용어집》 《좋아지는 생물학》 등이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우리는 사람의 얼굴을 신기하리만큼 잘 구별해낸다. 화성의 사막이 비치는 영상 속에서 사람의 얼굴을 찾아내기도 한다. 심령사진도 비슷한 맥락에서 생각해볼 수 있다. 얼굴은 눈으로 접한 순간 우리 뇌의 다양한 부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정보를 처리해서 누구의 얼굴인지, 예전에 만난 적이 있는지를 순식간에 판단을 내린다.

그런데 관자연합영역에는 얼굴세포, 즉 얼굴을 식별하는 전문 세포가 모여 있는데 이 부위가 손상되면 물체의 경우 정확하게 구별해서 사물의 이름은 대답하지만 사람 얼굴은 아는 사람이라도 이름을 대답하지 못하게 된다. 이처럼 얼굴을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이나 장애를 안면인식장애라고 한다.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안면인식장애가 있는 사람은 눈의 특징이나 코의 특징 등 세세한 것은 식별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특정인의 얼굴을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거울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보더라도 이것이 자신의 얼굴인지 알지 못한다. 아무리 쳐다봐도 모르는 누군가의 얼굴인 것이다.

출처: <내 몸 안의 생명원리 - 인체 생물학>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요시다 구니히사

이학박사. 1940년에 일본에서 태어나 도쿄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스루가다이대학교에서 ‘생명과학’, ‘생명 조작의 빛과 그림자’, ‘인간(인체)생물학’ 등을 강의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현대문화학부장, 대학 부학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스루가다이대학교 명예교수 및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오랫동안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집필진으로 맹활약했으며, 일본에서는 생물 교육의 정통한 권위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비전공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생물학, 일반인의 관점에서 궁금해 하는 생물학을 추구하며 책을 펴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생물, 새롭게 생각하는 문제 100선》 《생물, 생각하는 실험 문제 50선》 《생물 용어집》 《좋아지는 생물학》 등이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