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독한 농담 하나 하겠다. 성인과 아동의 차이는? 성인은 프로작(Prozac, 우울증 치료제)을 먹고 아동은 리탈린을 먹는다. 참으로 괴상한 일이지만 이것이 미국의 현실이다. 보고서마다 수치가 약간씩 다르긴 하지만 취학 연령 아동의 10분의 1에서 4분의 1이 ADD나 ADHD 진단을 받는다고 한다. 

진단받은 아이의 성비를 보면 남자아이가 여자아이보다 5배나 많다. 주의력결핍장애 판정을 받은 아이들은 대부분 리탈린과 비슷한 ‘기분을 전환시키는 약물(mood-altering drug)’ 처방을 받는다. 이렇게 많은 아이들이 약물을 복용한다니 무슨 전염병이라도 돌고 있는 것일까? 이 전염병의 원인은 무엇이고 왜 이렇게 빠르게 번지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ADD와 ADHD는 공기로 쉽게 전염되는 바이러스나 내성이 강한 박테리아가 일으키는 것일까? 주의력결핍장애가 병이라면 품행 교육만으로 완치될 수 있을까? 유전병일까? 부모가 아이에게 주의력결핍장애를 물려주었다면 왜 부모인 우리는 어렸을 때 그 병을 앓지 않았을까? 이 책을 읽는 대부분의 독자들과 마찬가지로 나도 부모다. 

아이들은 전 부인과 산다. 큰아들 알렉스는 열두 살이고 몇 년 전 ADD 진단을 받고 리탈린을 복용했다. 작은아들 케빈은 열 살이고 ADHD 판정을 받아 리탈린과 비슷한 사일러트를 먹다가 잠을 설치고 악몽에 시달려서 항우울제인 토프라닐(Tofranil)을 먹었다.

출처: <ADHD는 병이 아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데이비드 B.스테인 (David B. Stein)

ADD 진단과 ADHD 판정을 받은 두 아들을 둔 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 정신의학과 교수이다. 강단에서 소아정신병리학과 행동수정학을 가르치고, 현재 아동 장애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정신약리학 수업도 하고 있다. 뉴욕시립대학 브루클린칼리지에서 학사를 받고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의 전미 심리학명예학생연맹 대표를 맡았고, 테네시대학교 건강과학센터의 임상 조교수, 멤피스 정신의학연구소 외 여러 정신의학센터 연구원, 미시시피대학교 메디컬센터에서 레지던트를 마친 뒤 현재 롱우드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로 있다. 25년 경력의 의사이기도 한 그는 교육자, 저자, 연사, 청소년쉼터 심리상담사이자 멤피스 개인 정신치료센터 원장으로도 활동하며 초·중·고교생부터 대학생, 대학원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대상을 지도하고 있다.

《1998년 미국 교사 후즈후(Who’s Who Among American’s Teachers, 1998)》와 《1998년 저명한 미국인(Outstanding Americans, 1998)》에 등재되었으며, 미국 정신의학 보건서비스 제공자 국가등록심사위원회 위원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미국 남부에서 최초로 이혼 극복 치료 단체를 조직해 국민정신보건 기여공훈(National Contributions to Mental Health)을 받기도 했다. 저서로 반항적인 청소년을 위한 종합적인 행동치료 전략을 다룬 《다루기 힘든 청소년 통제하기:10대를 위한 실질적인 경제 시스템》이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나는 ADDADHD 아동을 완전히 정상으로 본다. 충분히 예의바르게 행동하고 집중하고 사고할 수 있는 아이들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문제는 사고력이다. 이 아이들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거나 집중하지 않는다. 특히 학교 숙제처럼 싫어하는 일을 할 때 더 집중하지 않는다.

나는 주의 주기, 달래기, 도와주기, 경고하기와 같은 선행 자극을 강조하지 않는다. 그런 방법들은 아이의 정신적 능력을 저하시키고 아이들이 도와주는 사람에게 의존하게 만든다.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대신 지나치게 도와주기만 하면 아이들은 평생을 무기력하고 의존적인 사람으로 살아가게 된다. 이것이 바로 행동치료법이 지닌 치명적인 문제다.

아이에게 스스로 활동하는 법을 가르치지 않은 채 지나치게 도와주는 일을 그만두거나 약물을 끊어버리면 아이들은 생활을 해나갈 수 없다. 심각한 병이 있어서 그런 게 아니라 처음부터 아이에게 스스로 활동하는 법을 가르쳐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심리학자 클로드 슈타이너(Claude Steiner)는 아이를 무기력하고 의존적으로 키우는 것이야말로 최악의 교육법이라고 했다.

헬렌 켈러의 가정교사 애니 설리번은 헬렌을 동물이 아니라 인간처럼 행동하고 의사소통하도록 가르쳤다. 설리번은 헬렌이 정상이고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 덕분에 미국에서 가장 위대한 위인 중 한명이 탄생할 수 있었다. 우리도 설리번이 헬렌에게 한 것처럼 ADDADHD 아동에게 할 수 있다.

출처: <ADHD는 병이 아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데이비드 B.스테인 (David B. Stein)

ADD 진단과 ADHD 판정을 받은 두 아들을 둔 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 정신의학과 교수이다. 강단에서 소아정신병리학과 행동수정학을 가르치고, 현재 아동 장애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정신약리학 수업도 하고 있다. 뉴욕시립대학 브루클린칼리지에서 학사를 받고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의 전미 심리학명예학생연맹 대표를 맡았고, 테네시대학교 건강과학센터의 임상 조교수, 멤피스 정신의학연구소 외 여러 정신의학센터 연구원, 미시시피대학교 메디컬센터에서 레지던트를 마친 뒤 현재 롱우드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로 있다. 25년 경력의 의사이기도 한 그는 교육자, 저자, 연사, 청소년쉼터 심리상담사이자 멤피스 개인 정신치료센터 원장으로도 활동하며 초·중·고교생부터 대학생, 대학원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대상을 지도하고 있다.

《1998년 미국 교사 후즈후(Who’s Who Among American’s Teachers, 1998)》와 《1998년 저명한 미국인(Outstanding Americans, 1998)》에 등재되었으며, 미국 정신의학 보건서비스 제공자 국가등록심사위원회 위원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미국 남부에서 최초로 이혼 극복 치료 단체를 조직해 국민정신보건 기여공훈(National Contributions to Mental Health)을 받기도 했다. 저서로 반항적인 청소년을 위한 종합적인 행동치료 전략을 다룬 《다루기 힘든 청소년 통제하기:10대를 위한 실질적인 경제 시스템》이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해독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간의 중요한 작용인 에너지대사에 관해 알아보자. 간에서 일어나는 대사는 소화기관에서 운반된 탄수화물(당질), 단백질, 지방(지질) 등의 영양소를 체내의 각 기관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로 바꾸거나 에너지로 저장해두는 작용을 가리킨다. 간이 수행하는 대표적인 에너지대사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당의 대사

당의 비축(간 글리코겐)

당의 신생

케톤체의 합성

당질·지질·단백질은 간의 미토콘드리아에서 모두 아세틸조효소A’로 변환되어 공통 회로인 구연산회로로 들어가서 전자전달계로 나아가면 대량의 ATP가 생산된다. 그리고 글루코스가 중성지방으로 변환되어 저장되기도 하고, 단백질 분해 산물인 아미노산에서 글루코스가 만들어지는 당의 신생과 같이 당질·지질·단백질은 서로 변환되어 이용된다,

간은 이렇게 합성된 글리코겐이나 중성지방 외에 장에서 흡수된 일부 비타민(비타민비타민D ·비타민B12 )과 철분 따위를 저장했다가 필요에 따라 몸속으로 보내준다. 이를테면, 영양소의 저장고 구실을 하는 기관이 간이다. 이러한 간의 에너지대사 중에서 당의 신생은 질병의 근본 원인 5가지 중 하나인 저혈당과 관계가 깊다.

출처: <질병은 우리 몸에서 어떻게 시작될까>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데라다 다케시(寺田武史)

의료법인 아쿠아 메디컬 클리닉 원장.

1968년 일본 도쿄 출생. 도호(東邦)대학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 외과학 제3강좌 입국 후 소화기 외과 (간담췌 외과)에서 소화기 암을 전문으로 진료했다. 10년간의 대학병원 근무 중 ‘최신·최선’ 의료를 위해 노력했지만 보람도 없이 허무하게 사망하는 환자들을 보면서 현대 의료에 한계를 느꼈다. 그 뒤로 ‘왜 사람은 병에 걸리는가?’ 하는 의문을 품고 ‘암을 고치는 의사이자 암을 만들지 않는 의사’를 목표로 아쿠아 메디컬 클리닉을 개업했다.

현재는 전문 분야인 소화기 질환 외에 분자영양학을 바탕으로 한 영양요법에도 주력하고 있다. 한편 일본이 올림픽에서 금메달 수를 늘리는 것과 운동선수의 선수로서의 수명을 1년이라도 연장하고자 심신의 건강관리와 영양 관리를 포함한 지도를 계속하고 있다. 취미는 트라이애슬론(철인 3종 경기)이며, 세계를 다니며 10년 이상 트라이애슬론에 참여하고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암 환자의 희망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진짜 희망가짜 희망이 그것입니다. ‘가짜 희망은 흔히 낙관적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가짜 희망은 앞으로 일이 잘 풀리겠지’, ‘긍정적으로 생각하자는 장밋빛 청사진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음 깊은 곳에서는 자신이 처한 환경을 조금도 통제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의식에서는 희망이지만 무의식에서는 절망이지요. 이러한 희망은 스스로를 속이는 망상적 희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진짜 희망은 두 눈을 똑바로 뜨고 자신의 현실을 인정하고 마주할 수 있는 용기, 그리고 이 현실을 뛰어넘는 능력이 있는 사람들의 희망입니다.

나는 뭔가를 이뤄낼 수 있다는 진정한 확신이 있는 희망을 말합니다. 그루프먼의 연구 결과, 가짜 희망을 품고 있는 환자들은 점점 나빠졌지만, 진짜 희망을 품고 있는 환자들은 회복 속도가 빨랐습니다. 이러한 결과에 용기를 얻은 그루프먼 박사는 환자를 탐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이 살아온 삶을 분석하고 가족력, 직업 경력, 생활습관, 인간관계 등을 알아보면서 병의 단서들을 찾았습니다. 그리고 거짓 희망을 버리고 참된 희망을 불어넣었습니다.

출처: <암, 마음을 풀어야 낫습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김종성

목사이면서 국내 최초 심신의학 암 전문가이다. 두 개의 길을 걷느라 학부 과정으로 철학과 신학 8년, 석사 과정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4년, 박사 과정으로 국내외 세 대학에서 9년간 공부했다. 마지막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심신의학을 수련함으로써 신학, 철학, 심리학, 신경과학, 내분비면역학, 심신의학까지 방대한 지식을 축적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에게 최고의 대학은 30대 초반 불치병으로 1년간 죽음의 문턱을 여러 번 넘나든 것인데, 이후 환자의 아픔을 몸으로 알게 되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신통합의학과(현 연구소 승격) 외래교수로 일했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등에서 심신의학을 강의했다.

KBS TV <생로병사의 비밀>, KBS 라디오 <건강하게 삽시다>에 연재로 출연하기도 했다. 지금은 암 재발 예방 프로그램 <캔미션 생명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5개 국어를 쉽게 훈련하는 ‘한글로영어’ 대표이기도 하다. 대표 저서로 《의사 예수》와 영문판 《Doctor JESUS》, 《한글로 5개 국어 물려준 엄마 이야기》 외 다수가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사람에게는 원래 완성과 의미를 찾으려는 욕구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래전 블루마 자이가르닉(Bluma Zeigarnik)과 지도교수 쿠르트 레빈(Kurt Lewin)이 말했듯, ‘완성한 것보다 해결하지 않은 상태로 둔 일이 훨씬 오래 기억에 남는다고 합니다. 결론 없이 끝나는 영화가 훨씬 오래 기억에 남는 것과 같습니다.

근친상간과 강간을 당한 희생자들은 왜 이런 일이 나에게 일어났는가?” 라는 내면의 질문에 답을 찾지 못하고, 대신에 나는 그 일을 당해도 싸!”라며 자신을 맹비난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생각이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자신감을 잃게 합니다. 또한 면역력을 낮춰 질병에 허약한 체질로 만듭니다.

글쓰기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줍니다. 다중인격 장애(해리성 장애)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들에게 털어놓기는 큰 효과가 있었습니다. 암 환자의 심리를 검사해보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유사한 심리 상태가 나타납니다.

이 때문에 암 환자가 글쓰기로 털어놓기를 하면 좋은 효과가 나타납니다. 이들은 엄청난 충격을 받았을 때 좀처럼 마음을 열지 않고 누구와도 의논하려 하지 않습니다. 결국 상처가 치유되지 않은 채 고스란히 무의식 속에 쌓이게 됩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