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미국의 의학박사 테일러는 염분이 전혀 없는 식사를 계속하는 실험을 스스로 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3~4일 : 식욕 저하, 식은땀 배출
● 5~7일 : 전신 권태감
● 8~9일 : 근육의 경련이 멈추지 않아 실험 중지
이처럼 염분은 살아가는 데 있어서 필수 물질인데 어째서, 언제부터 악당 취급을 당하게 된 것일까?
1950년대에 일본에 조사 연구차 온 미국인 학자 L. K. 달 박사는 하루에 13~14g의 염분을 섭취하는 일본 남부 주민들의 고혈압 발생률이 약 20%이고, 그들보다 2배나 많이 염분(하루에 27~28g)을 섭취하는 동북지방 사람들의 고혈압 발생률이 40%나 된다는 결과를 얻고 ‘염분이야말로 고혈압이나 뇌졸중의 원흉이다’라는 논문을 1960년에 발표했다.
이 논문이 발표되자 즉시 아키타현을 중심으로 염분 줄이기 운동이 시작되었고, 이는 곧 전국으로 퍼져나갔다. 그 결과 고혈압과 뇌졸중의 발병이 실제로 감소했는데, 그 사실만을 가지고 의학자나 영양학자들은 ‘염분은 고혈압과 뇌졸중의 원흉’이라는 그들 특유의 논리를 더욱 확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달 박사는 일본 동북지방이 한랭 지역이라서 사람의 혈관이 수축하여 혈압이 상승한다는 점, 추운 겨울에는 집 밖에서 하는 노동이나 운동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혈압이 상승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단행본에서]
출처: <내몸이 보낸 이상신호가 나를 살린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이시하라 유미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행이 나쁜 부위에 병이 생기는 이유 (0) | 2018.09.27 |
---|---|
혈압강하제, 무리하게 먹을 필요는 없다 (0) | 2018.09.24 |
내 몸이 보낸 이상신호가 나를 살린다 (0) | 2018.09.17 |
역설성 불면증이란 무엇일까? (0) | 2018.09.13 |
적응성 불면증과 정신생리성 불면증 (0) | 2018.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