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들은 다양한 형태로 아이들에게 규칙을 지킬 것을 요구합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아이들은 그 규칙을 잘 지키지 않습니다. 도대체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명심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볼 때, 아이들이 규칙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는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규칙은 대부분 어른들이 편하게 살기 위해 만든 것이기 때문이죠. 거실에서 음악을 너무 시끄럽게 틀지 않기로 딸과 합의한 아빠는 집에서는 조용히 쉬고 싶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러한 규칙을 만든 것입니다.

L'Oreality by Wen Nag (aliasgrace)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사회복지사가 아이들이 밤 10시 전에는 청소년회관 건물에서 나가야 한다는 것을 규칙으로 정한 것은 일찍 정리를 하고 퇴근하고 싶은 자신의 욕구 때문이기도 하죠. 저녁 식사 후에는 아이가 설거지를 하는 것으로 규칙을 정한 부모는 자신들의 짐을 덜기 위해서지 아이의 안락을 위해서 그렇게 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러한 규칙들은 아이들에게 어떤 직접적인 이점도 가져다주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그러한 규칙의 필요성과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려운 일이죠. 그래서 아이들은 이렇게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게 나에게 무슨 소용이야? 규칙은 전부 엉터리고 아무 의미도 없어!”

어른들은 아이들을 위해 규칙을 세우지만 정작 아이는 그 규칙을 지켜서 좋은 점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후 7시까지 귀가해야 하는 아이는 그러한 규칙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할 수 없으며 또한 이해하려고 하지도 않습니다.

Bathroom reading
Bathroom reading by thejbird 저작자 표시비영리

학교에서 내주는 과제는 대부분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단지 횡포나 불필요한 부담으로 느껴질 뿐인 것이죠. 텔레비전 시청 시간에 제한을 두는 것도 아이 입장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규칙입니다.

한마디로, 어른들은 아이들을 위해 규칙을 세우지만 아이들은 왜 자신들에게 그런 규칙이 필요한지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펼쳐지는 것입니다. 그것은 어른들이 규칙의 의미를 전달하는 능력에 문제가 있어서라기보다는 아이들에게 아직 경험과 세계관이 부족해서 생기는 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규칙을 이해하고 납득시켜야 할 사람은 다름 아닌 부모님들입니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규칙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해야 하며, 아이들이 , 이렇게 해야 정말 나에게 이익이 되는 구나라는 것을 실제로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아이들은 한결 규칙에 순종하게 되며 그것으로 인해서 부모님들도 편안하게 됩니다. 아이들에게 규칙을 설명할 때에는 반드시 아이의 입장에서’, ‘아이에게 스스로 어떤 도움이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어야 할 것입니다.

출처 : <반항아 길들이기>, 루디 로데 외 지음, 도서출판 전나무숲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한 청소년회관 앞에서 오가는 사회복지사와 남자 아이의 대화를 들어 봅시다. 15세의 마이클이 청소년회관 정문 바로 앞에 오토바이를 주차해놓았습니다. 그것을 본 사회복지사가 나와 아이에게 말을 건넵니다.

마이클, 문 앞에 있는 오토바이 네 것이니?”

왜요?”

통행에 방해되니까 다른 곳으로 옮겨주겠니? 주차장이 따로 마련되어 있잖아.”

그럴 필요가 뭐 있어요. 아무런 방해도 되지 않는데요!”

방해가 돼. 사람들이 오토바이 때문에 빙 돌아서 가야 하잖니. 게다가 거기는 비상 통로란 말이야.”

충분히 피해 갈 수 있어요. 도대체 왜 이러는 거예요?”

네 오토바이 때문에 소방서와 문제가 생기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이야. 넌 지금까지도 충분히 많은 문제를 일으켰잖아. 이젠 그만 좀 해줄래? , 이제 오토바이를 치워주겠니?”

전혀 방해되지 않는데.”

방해가 되니 치워주렴.”

마이클은 사회복지사와 좀 더 말싸움을 한 뒤에야 투덜거리면서 오토바이를 주차장으로 옮겼습니다. 이 상황에서 마이클은 자신의 오토바이를 주차장에 세워야 하는 이유를 충분히 납득하지 못한 대화 초반에 사회복지사에게 반발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Mad world by alles-schlumpf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분명 허용한계를 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로, 청소년회관의 사회복지사들 역시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해가며 객관적인 근거와 이유를 토대로 오토바이를 통행에 방해되지 않는 곳에 주차한다라는 허용한계를 정했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와 같은 상황일수록 허용한계를 그렇게 정한 이유와 객관적인 근거를 분명히 제시하고 설명해줘야 합니다. 그러면 마이클은 사회복지사가 자신을 존중하면서 규칙을 설명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는 다음과 같은 숨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나는 지금 내 마음대로 행동하거나 너를 괴롭히려고 이러는 것이 아니야. 내 행동에는 정당한 이유가 있어. 그렇기 때문에 네가 그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나에게는 중요해.’

그리고 허용한계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숨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내가 지금 말하는 허용한계의 근거를 네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고, 앞으로 이 규칙을 지켜주기를 바란다. 너는 내가 강요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규칙에 맞게 행동할 수 있어야 해.’

물론 마이클이 사회복지사가 제시한 근거를 정말로 이해하고 그것을 받아들일지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적어도 사회복지사가 자신을 괴롭히거나 일부러 불쾌하게 만들려는 의도는 없으며, 정당한 근거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는 사실은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설령 사회복지사가 제시한 근거를 납득하지 못하더라도 마이클은 사회복지사가 두려워서가 아니라 통솔자로서 그의 위치와 권위를 존중하기 때문에 오토바이를 주차장으로 옮기게 될 것입니다. 사회복지사의 강요가 아니라 자유의지에 따라 행동하게 되는 것이죠.


출처 : <반항아 길들이기>, 루디 로데 외 지음, 도서출판 전나무숲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틈만 나면 어른의 말을 무시하고 말썽을 피우는 아이들을 가리켜 우리는 반항아’, ‘문제아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 아이들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그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아이들을 반항아’, ‘문제아로 만드는 원인이 따로 있음을 알게 됩니다.

따라서 정작 해야 할 일은 아이를 야단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의 마음을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무엇 때문에 어른들에게 날을 세워 얘기하는지, 왜 어른들의 말에 토를 달고 지시를 자꾸 거부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알아야 하는 것이죠.

이번에는 아이들의 반항심을 부추키는 어른들의 말실수에 대해서 4회 특집으로 알아볼까 합니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님들이라면 누구나 관심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며, 분명 이 포스팅에서 얻을 수 있는 메시지도 적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0216 by Cia de Foto 저작자 표시


그럼 그 첫 번째로 모호한 한계 허용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슈퍼마켓이나 대형 마트에서 쇼핑을 하다 보면 엄마와 아이가 실랑이하는 장면을 자주 보게 됩니다. 아이는 큰소리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사달라고 조르고, 엄마는 안 된다며 아이를 달래거나 윽박지르는 것이 실랑이의 전부입니다. 그들의 실랑이는 대부분 이렇게 전개됩니다.

엄마, 나 아이스크림 사줘.”

아이, 안 되지~. 우리 오늘은 아이스크림 안 먹기로 약속했잖아~.”

사줘~~.”

물론 상황은 이쯤에서 끝나지 않죠. 그러다가 기어이 아이가 바닥에 앉거나 드러누워 떼쓰면 아이를 말리다 못한 엄마는 사람들의 시선이 부끄러워 아이의 엉덩이를 때리며 그 자리를 벗어납니다.

이런 상황에서 엄마가 아이의 요청에 애처롭거나 곤란한 듯한 말투로 대답해서는 아이의 칭얼거림과 고집을 잦아들게 할 수 없습니다. 만일 아이가 아이스크림을 사달라는 말을 처음 꺼냈을 때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면 상황은 확실히 달라졌을 것입니다.

(단호하고 또렷하게 온몸으로 말한다.)

안 돼! 오늘은 아이스크림 안 먹기로 약속했잖아.”

단호하고 또렷한 말투, 표정, 손짓은 아이의 욕구를 억누르는 데 아주 효과적입니다. 또한 말로 드러나지 않은 숨은 메시지도 함께 전달함으로써 계속되는 애원과 칭얼거림도 예방할 수도 있습니다. 단호하고 또렷한 말투, 표정, 손짓에 숨은 메시지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Oh my God I look Cute!! by creativesam 저작자 표시비영리


내 단호한 말투를 들으면 엄마가 지금 무척이나 진지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거야. 엄마는 이 문제로 토론이나 말다툼을 벌이는 걸 원하지 않아. 그리고 아이스크림을 먹고 싶은 너의 바람이 충족될 수 없다는 사실도 알 수 있을 거야. 그러니 이러한 엄마의 기준을 받아들여. 그러지 않으면 엄마는 네가 결코 달가워하지 않을 대처 방안을 사용할 수밖에 없어!’

중요한 것은 오늘은 아이스크림 안 먹기로 약속했다라는 허용한계(아직 규칙화하지 않은 행동의 허용치)입니다. 하지만 애처롭고 곤란한 듯한 말투로 대답하는 것과 단호하고 또렷한 말투로 대답하는 것은 결과 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애처롭고 곤란한 듯한 말투에서는 명료함과 결단력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 때문에 엄마가 정한 허용한계의 경계가 모호해지게 되는 것이죠.


가련한 말투로 얘기하는 것은 아이에게 허용한계가 확실하지 않으니 계속해서 공격해도 좋다고 말하는 것과 같으며, 아이는 그만!”이라는 강한 금지의 표시를 여전히 협상의 여지가 있는 표시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출처 : <반항아 길들이기>, 루디 로데 외 지음, 도서출판 전나무숲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는 광고 카피가 크게 히트를 친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카피는 일 먼저, 휴식 나중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일을 열심히 하기 위해서는 오히려 휴식 먼저, 일 나중이라는 생각의 전환을 할 필요도 있을 듯 합니다.

연초에 1년의 휴가계획을 미리 짜야 하는 이유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입니다. 철저하게 쉴 수 있는 마지노선을 정해 놓으면, 점점 다가오는 그 행복을 위해서라도 하루 하루 최선을 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There's a pool party at sunset - everyone mark your chair with a towel by Stuck in Customs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사실 휴식, 혹은 휴가라는 것은 단순히 노는 것이 아니라 일의 매듭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푹 쉬고 난 이후에는 업무의 효율이 오를 뿐만 아니라 쉬는 동안에 가족이나 친구, 취미나 자연과 접함으로써 업무와 인생의 질도 높일 수 있습니다.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일이 바쁘다고 쉬지 않고 똑같은 일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일을 하면 자극이 적어져 타성에 물들게 되고, 결국에는 일의 효율성도 떨어집니다. 공부 역시 한 과목을 6시간이고 8시간이고 계속하는 것보다, 2시간 하고 30분 쉬는 편이 더 효율적입니다.

, 결론적으로 온(on)과 오프(off)를 가르는 매듭을 두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입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면 매듭은 목표나 결승점이 되기도 합니다. ‘몇 시까지 이 일을 하겠다든가 몇 일까지 저 업무를 마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면 효율성도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쉴 틈을 내지 못하는 사람은 이 같은 매듭 없이 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기한을 의식하지 않은 채 공부나 일을 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연차휴가를 내기 힘들다면 작은 성공에 대한 보상이라도 좋습니다. 매일 자기 전에 긴장을 푸는 시간을 갖는 것도 좋고, 업무나 공부를 마친 후 밤늦게 마시는 술 한 잔도 스스로에게 주는 작은 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Fun at sea
Fun at sea by wili_hybrid 저작자 표시비영리


이것을 하나의 즐거움 삼아 힘을 낼 수도 있고,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작은 보상을 주는 경우라면 하루의 아침에 오늘 저녁에는 나에게 무슨 보상을 줄까를 생각하고, 일주일 단위의 보상이라면 월요일 아침이나 일요일 저녁에 주말에 있을 행복한 보상을 미리 생각해 놓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만약 스케줄 수첩에 막연하게 공백으로 비워 두면, 점점 새로운 일정으로 채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휴가 계획은 미리 잡아 두지 않으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만 시기를 놓치고 말게 되죠.

, 그럼 당신의 올해 휴가계획을 한번 짜보실까요 ^^



Posted by 전나무숲
,

오늘도 지난 번에 이어 자신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습관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습관
7 실패도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필요한 요소다.


'야구 천재'라고 불리는 이치로 선수는 이렇게 말합니다.

()을 잃었을 때, 성과가 나오지 않을 때, 어떤 자세로 그와 같은 상황을 받아들이느냐가 가장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타석에서 결과가 좋지 않으면 오늘은 경기가 잘 안 풀리려나?’ 하는 마음이 들기 쉽지만, 그런 어려움 속에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는 자세가 무언가를 낳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나는 역풍을 꺼리지 않으며 역풍이 있는 편을 더 좋아합니다. 어떤 일이든 역풍이 없다면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없으므로 언제든 대환영입니다.”

역경이야말로 도약을 위한 발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패라는 말에는 부정적인 뉘앙스가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실패를 도전으로 바꿔 말해보십시오. 아마도 힘이 불끈 솟을 것입니다.

‘Everything happens for the best’라는 말이 있습니다. 모든 일은 가장 좋은 방향으로 일어난다라는 뜻입니다.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좋은 일뿐만 아니라 나쁜 일도 모두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필연적인 것이다라는 사실을 이 말은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buffalo wings
buffalo wings by rbbaird 저작자 표시비영리

인생에서 예기치 않은 불운과 만났을 때, 그리고 위기가 찾아 왔을 때 이 말을 계속 읊조리면 곤경에서 벗어날 수 있고 긍정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습니다. 위기의 순간일수록 오히려 힘을 내고, ‘이로써 성공의 문에 한 발짝 더 다가갔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인생을 충실하게 살고 싶다면 실패를 즐길 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꿈을 이루고 싶다면 꿈이 이루어질 때까지 멈추지 말아야 하는 것이죠.

습관 8 집착력을 기르고 싶다면 눈앞에 놓인 지금 이 순간에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

집착력이라고 하면 왠지 모르게 근성이나 인내와 같은 고통스런 이미지를 수반하여 어두운 인상을 주곤 합니다. 하지만 집착력이야말로 인생에서 포기하지 않고 차분하고 강하게 앞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는 좋은 덕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집착력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 중의 하나는 바로 일일일생(一日一生)의 법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루가 바로 일생이다라는 말이죠. 예를 들어, 대형 참치 한 마리를 전부 먹어 치우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정답은 한 입씩 먹는다’입니다. 다이어트에 성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한 달에 6감량이라는 벅찬 목표가 아니라 하루 200g 감량이라는 작은 목표를 하루하루 착실하게 완수하는 것입니다.



Nino non aver paura a sbagliare un calcio di rigore by Geomangio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이렇게 일도 잘게 쪼개서 최선을 다하게 되면 조금씩 집착력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결국에는 거대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장기적인 목표를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현하고픈 꿈을 장기적인 목표로 삼고 머릿속에 확실히 각인시켜 그 꿈을 향해 하루 하루를 소중하게 살아가면 되는 것이죠.

습관 9 성과를 내려면 계속 도전하는 수밖에 없다.

무언가에 쓰인 듯 몰두하는 것이 천재들이 가진 공통점이기도 합니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과를 내기 직전에 포기해 버리곤 하죠. 천재는 일이 아무리 잘 풀리지 않아도 꿈에 한 발 한 발 다가가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할 수 있는 것입니다.

비즈니스의 세계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의욕에 차 있어도, 리더가 사전에 위험 부담이 너무 크다고 판단하면 프로젝트를 중단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나중에 보면 리더의 판단이 옳은 경우도 있을지도 모른죠. 그러나 결국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겁쟁이 팀은 내리막길을 걸아갈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하게 됩니다. 승리할 때까지 끊임없이 도전할 때에만 진정으로 승자가 될 수 있습니다.

습관 10 ‘할 수 없다할 수 있다로 바꾼다.

실패하는 대부분의 사람이 가진 공통점은 바로 비관주의자라는 사실입니다. 가령 똑같이 어려운 상황에 맞닥뜨려도 훌륭하게 위기를 극복하는 사람과, 쉽사리 좌절해 버리고 마는 사람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 원인을 선천적인 성격 탓으로 돌리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죠.

어려움에  처했을 때, 행동하기 전부터 위험 부담이 너무 크므로 잘될 리가 없다고 자기 멋대로 생각해 버리는 것이 비관주의자입니다. 이런 사람들은 행동하지 않거나, 가령 행동으로 옮겨도 금방 포기해 버리고 마는 것이죠. 즉 이와 같은 행동 패턴 자체가 도전정신과 인내력이 없음을 드러내 보이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간단하게 사고와 행동 패턴에 대해 알아보고 갑시다. 뇌 전체의 기능은 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순간, 곧바로 일시 정지되고 맙니다. 즉 컴퓨터 전원을 강제로 꺼 버리는 것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죠.



Right turn off of Sweetman's Lane
Right turn off of Sweetman's Lane by joiseyshowaa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또는 남의 이야기를 듣고 그런 일은 불가능해’, ‘꿈같은 이야기야. 좀 더 현실적으로 생각하는 편이 좋아와 같이 부정적인 메시지가 머릿속에 가득한 사람은, 행동하지 않기 위한 방어 메커니즘이 작동하여 결국 행동으로 옮길 수 없게 됩니다. 결국 이러한 생각들이 꿈을 이루는 것을 방해하게 됩니다.

지금 당장 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할 수 있다는 메시지로 바꿔보십시오. 분명 당신의 마음 가짐이 달라지면 행동도 함께 달라질 것입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