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자연의 신비라는 말을 많이 하는데, 차나무만큼 자연의 신비로운 면모를 지닌 나무도 드물다. 가장 먼저, 차나무는 줄기보다 뿌리가 더 긴 나무이다. 일반적인 나무의 뿌리는 짧으면 2m, 길면 6m 정도에 이르지만, 차나무는 훨씬 더 길게 뿌리를 내려 토양의 깊숙한 곳까지 파고든다. 이로 인해 차나무는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수분과 광물질을 비롯해 다양한 영양소를 품을 수 있다.

한마디로 땅의 에너지를 충분히 끌어내는 나무라 할 수 있다. 차나무는 또 실화상봉수(實花相逢樹)’, 이는 꽃과 열매가 만나는 나무라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꽃이 진 후에야 열매가 맺히기 때문에 하나의 나무에서 꽃과 열매가 동시에 존재하지 않는다. , 꽃은 열매가 맺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열매는 꽃의 아름다움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차나무는 전년도에 맺힌 열매가 1년이라는 시간을 기다려 새로운 꽃과 상봉한다. 이러한 점에서 차나무는 일반 나무와 완전히 다른 생장 방식을 보인다. 그뿐만 아니라 차나무는 매우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어 1,000년이 훨씬 넘도록 생존한다. 숲에 있는 대부분의 나무는 보통 최대 200~300년가량 살며, 그중에서도 소나무나 전나무는 약 600, 참나무는 700년 정도 생존해 장수와 신비함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중국에는 무려 2,700년 된 차나무가 있을 정도로 차나무는 그 생명력이 놀랍다.

출처: <건강을 마시는 습관, 보이차>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선재광

만성질환 전문 한의학 박사.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겸임교수, 경락진단학회 명예회장, 별뜸연구소 소장, 대한보구한의 원(서울 광진구 중곡동)의 대표원장이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한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한한방병원 원장을 지냈다. 피 해독과 체온 상승을 통해 고혈압·당뇨·고지혈증·암·치매 등의 만성질환을 전문으로 치료하며 방송 활동과 강연, 임상 연구, 저술 활동도 의욕적으로 하고 있다. 

대한보구한의원 _ http://dh.boguclinic.com
별뜸연구소 _ http://dh.boguclinic.com
유튜브 _ 한방N

● 지은이 _맹선숙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생리학교실 석사 취득 및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대한한의원을 공동 개원하고 죽향한의원, 별뜨는한의원, 선숙한의원의 대표원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대한보구한의원의 원장이다. WBS(원음방송)의 〈몸 건강 마음 건강〉 라디오 상담코너를 진행했다. 차의 놀라운 치유 효과를 많은 사람에게 전하고자 티 테라피 유튜브 채널인 ‘선숙한여인’을 운영하고 있다. 
유튜브 _ 선숙한여인 

 

Posted by 전나무숲
,

만성 염증이란 어떤 현상이며, 어떻게 생길까? 만성 염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먼저 사이토카인(cytokine)’에 관해 살펴보자. 사이토카인은 면역세포에서 생산·분비되는 물질이며, 주로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끼리 정보를 전달하여 면역세포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알기 쉽게 말하면, 체내 면역 기능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사이토카인의 역할이다. 사이토카인은 종류가 수백 가지나 되고 작용도 다양하지만, 기능에 따라서 크게 염증성 사이토카인,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호중구 등을 이동시키는 케모카인(chemokine)으로 분류할 수 있다. 면역세포는 병원체나 암세포 등의 이물질을 인식하면 먼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유도하여 생체의 염증(이물질 제거 신호) 발생을 촉진하고 면역반응을 활성화한다.

한편,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은 면역반응이 과잉하지 않도록 염증을 억제한다.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상호작용에 따라 우리 몸은 면역세포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하면서 면역 기능의 균형을 유지한다.

출처: <질병은 우리 몸에서 어떻게 시작될까>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데라다 다케시(寺田武史)

의료법인 아쿠아 메디컬 클리닉 원장.

1968년 일본 도쿄 출생. 도호(東邦)대학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 외과학 제3강좌 입국 후 소화기 외과 (간담췌 외과)에서 소화기 암을 전문으로 진료했다. ‘왜 사람은 병에 걸리는가?’ 하는 의문을 품고 ‘암을 고치는 의사이자 암을 만들지 않는 의사’를 목표로 아쿠아 메디컬 클리닉을 개업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성급하고 충동적인 아이의 부모라면 아이가 건전한 자아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일찍부터 개입해야 한다. 아이를 대하는 태도에 섬세한 주의를 기울여라. 아이의 작은 성공에도 칭찬을 해줘라. 아이가 배울 수 있는 복잡한 일을 여러 단계로 쪼개서 가르치고 한 단계씩 성공할 때마다 칭찬하라. 학교에 다니는 나이가 되었다면 아이에게 식사 준비 돕기와 같은 집안 일을 시키는 것이 성취감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캔을 따서 내용을 그릇에 담는 작은 일이라도 좋다. 아이가 자신이 중요한 사람이라고 느끼고 자신감을 갖고 독립심을 기를 수 있도록 도우라. 아이가 도와주면 작은 일이라도 기쁘다고 말해주고 칭찬해주어라. 내가 자주 쓰는 양육법 중 하나가 아이가 있는 곳 바로 옆방에서 일부러 아이가 들을 수 있도록 칭찬하는 것이다. 아이가 아주 가끔씩 부정적인 말을 하면 무릎에 앉히고 아이의 기분을 물어보라.

이때는 아이가 자기 연민성 발언이나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발언을 완전히 멈춘 후에 질문하라. 그러한 행동을 멈추면 아이가 자신에 대해 좋게 생각하지 않을 때는 안아주고 위로하고 안심시켜주어라. 아이가 잘할 수 있는 것들을 이야기해주고 긍정적인 부분과 장점을 찾아 생각해보자고 하자. 부모가 해주는 위로의 말이 아이가 긍정적인 자아상을 키우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아이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말을 할 때는 칭찬을 많이 하고 꼭 안아주어라. 아이가 긍정적인 말투와 근면한 학습 태도,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부모가 본을 보여라. 아이가 잘하면 더 잘하도록 잘하는 행동을 강화하라. 이런 예방적인 조치를 취하면 아이는 결코 ADDADHD 진단을 받지 않을 것이며 리탈린을 먹을 일도 없을 것이다.

출처: <ADHD는 병이 아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데이비드 B.스테인 (David B. Stein)

ADD 진단과 ADHD 판정을 받은 두 아들을 둔 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 정신의학과 교수이다. 강단에서 소아정신병리학과 행동수정학을 가르치고, 현재 아동 장애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정신약리학 수업도 하고 있다. 뉴욕시립대학 브루클린칼리지에서 학사를 받고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Posted by 전나무숲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미네랄에 식이섬유를 더한 6대 필수 영양소는 인간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것들이다. 그러나 유전자 차원에서 생각했을 때, 건강 유지와 증진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또 하나의 중요한 영양소가 있다. 그것은 바로 일곱 번째 필수 영양소인 '핵산'이다.

핵산은 살아있는 세포의 유전 물질을 구성하는 물질로, 단백질의 합성 경로를 조종하고 모든 세포의 활동을 조절하는데 디옥시리보핵산(DNA)과 리보핵산(RNA)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유전자 영양학 연구소 대표인 마쯔나가 마사시 박사는 인간의 몸은 체내 핵산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래서 음식의 섭취를 통해 공급되는 핵산(샐비지 합성)의 양이 많아지면 간에서 만드는 핵산(데노보 합성)의 양을 줄이고, 반대로 적어지면 간에서 만드는 양을 늘린다. 따라서 음식을 통해 핵산을 많이 섭취하면 샐비지 합성이 늘어나고 데노보 합성이 줄어든다. 암세포는 간에서 만드는 데노보 합성의 핵산을 영양분으로 삼아 증식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암세포는 굶어 죽을 수밖에 없다.”라며 핵산의 섭취를 늘릴 것을 당부했다.

출처: <암을 억제하는 항암식품의 비밀 50>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니시노 호요쿠(西野輔翼)

식품이 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갖고 이 분야를 개척해왔다. 그동안 이룬 연구 성과를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이 책을 엮었으며, 현재도 암 예방 식품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하고 있다. 현재 교토부립의과대학 생화학 교실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종양생화학을 전공했고 교토부립의과대학과 동 대학원 박사과정을 거쳐, 미국 하버드대학 의학부에서 공부했다. 일본 국립암센터연구소 암예방연구부장을 역임했다.

Posted by 전나무숲
,

내가 우리 아이가 처방받은 약이 완전히 안전하다고 믿었다면 아이에게 약을 먹이는 것에 반대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 약물에 대한 현대 의학의 연구 수준은 아주 초보적인 단계이며 나는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위험에 빠뜨리면서까지 약의 안전성을 실험하고 싶지는 않다. 처음엔 완전히 안전한 줄 알았는데 나중에 유해함이 밝혀진 약들을 기억하는가? 탈리도마이드를 보라.

기형아를 낳는 원인이 될 수도 있음이 밝혀진 1960년대까지 임산부에게 진정제로 처방되었다. 엑스랙스(Ex-Lax)는 어떤가? 1997년 쥐 실험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된 변비약 엑스랙스는 의사의 처방전 없이도 구입할 수 있던 약이었다. 리탈린이 비교적 순한 각성제라고들 한다. 하지만 1988년 연방정부통제법에서 리탈린을 코카인, 아편, 모르핀과 같은 등급인 스케줄로 분류했음을 기억해야 한다.

스케줄는 오용과 중독 위험성이 높은 약물을 모은 목록이다. 중독의 위험성에 더하여 다른 심각한 부작용도 있음을 알아두어야 한다. 이 약들이 행동을 조절하는 뇌 부분에만 작용할까? 아니다. 뇌뿐만 아니라 몸 구석구석으로 퍼져 투여 목적과 관계없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예상치 못한 부작용은 약 복용 후 즉시 혹은 몇 주 내에 나타나는 단기 부작용과 수년 동안 잠복하다가 발현되는 장기 부작용으로 분류된다.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를 비롯한 각성제를 복용한 아동은 불면증(우리 아들 케빈이 겪었다), 잦은 울음, 자극 예민성, 성격 변화, 초조함, 피부 발진, 열병, 메스꺼움, 어지러움, 두통, 심계항진(비정상적인 심박 속도), 운동 장애(혀와 안면 근육 운동 이상), 졸음, 혈압 변화, 심장 부정맥(케빈이 겪었다), 협심증(가슴 통증), 복통(역시 케빈이 겪었다)과 같은 단기 부작용을 겪을 위험이 있다.

출처: <ADHD는 병이 아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데이비드 B.스테인 (David B. Stein)

ADD 진단과 ADHD 판정을 받은 두 아들을 둔 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 정신의학과 교수이다. 강단에서 소아정신병리학과 행동수정학을 가르치고, 현재 아동 장애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정신약리학 수업도 하고 있다. 뉴욕시립대학 브루클린칼리지에서 학사를 받고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