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은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는가'에 해당되는 글 8건

  1. 2022.07.28 독버섯의 세계
  2. 2022.07.21 모르핀 보다 탁월한 진통제는?
  3. 2022.07.18 동물 독의 종류

해마다 가을이 되면 독버섯을 먹고 중태에 빠졌다는 사건 사고를 알리는 뉴스가 곧잘 보도된다. 예로부터 독버섯과 식용버섯을 구분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속설들이 난무한다. 지나치게 색깔이 화려한 버섯에는 독이 있다든가, 자루가 세로로 찢어지는 버섯에는 독이 없다든가, 벌레가 먹은 버섯이라면 사람이 먹어도 괜찮다는 등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 분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말들은 모두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속설에 지나지 않는다. 독버섯과 식용버섯은 각기 그 종류와 판별법을 하나씩 끈기있게 익혀가는 수밖에 없다고 말해도 좋으리라. 전문가라고 해도 때로는 오판하는 경우가 있다. 버섯에 의한 중독은 천연 독에 의한 중독 사례 중 70%를 차지하며, 사망 사건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아주 위험하다.

그러므로 만약 독버섯인지 의심스럽다면 절대 먹지 않는 것이 상책이다. 그런데 독버섯이라고 해도 버섯의 종류에 따라 독의 성분이 다르다. 구토나 설사 등 위장장애를 보이는 것(화경버섯, 담갈색송이, 노랑싸리버섯 등), 복통과 설사, 탈수 증상, 간과 신장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것(독우산광대버섯, 알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독황토버섯 등), 신경계에 작용해 실신이나 과도한 흥분, 환각이나 정신착란 등을 일으키는 것(땀버섯, 깔때기버섯, 마귀광대버섯, 환각버섯, 목장말똥버섯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출처: <독은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는가>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다나카 마치(田中真知) 

과학 전문 작가이자 번역가로 활동하며 전문 분야의 글쓰기에 재능을 발휘하고, 특히 과학 분야의 특정 주제를 알기 쉽게 풀어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 이집트에 머물면서 아프리카·중동 각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취재, 여행하며 여행의 기록을 책으로 펴내 큰 인기를 얻었다. 저서로는 『도서관 탐험 – 자연이 만든 형태』 『아프리카 여
행기』 『어느 날 밤, 피라미드에서』 『지구에서 산다(전4권)』 등이 있고, 역서로는 그레이엄 행콕의 『신의 지문』 『혹성의 암호』 등이 있다. 

 감수 _정해관 

국립독성연구원에서 신경독성과 유전독성분야의 연구를 담당했으며,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 보건연구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1972년 건국대학교 축산대학을 졸업하고 1982년 동 대학원 생물학과 미생물학을 전공해 이학석사가 되었다. 1982년 일본 정부 초청으로 일본동경대학대학원 농예화학 전문과정에서 구조 분자생물학을 전공해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8년부터 국립보건안전연구원(현 국립독성연구원) 보건 연구관으로 재직했고, 1991년에는 미국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NIEHS)의 객원연구원을 거쳐 1994년에는 일본국립암센터연구소 초빙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암 억제 유전자의 기능 해석에 관한 연구를 했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아도 구워도 먹을 수 없는 곰팡이 독  (0) 2022.08.04
불가사의한 거미독  (0) 2022.08.01
아름다운 꽃에는 독이 있다  (0) 2022.07.25
모르핀 보다 탁월한 진통제는?  (0) 2022.07.21
동물 독의 종류  (0) 2022.07.18
Posted by 전나무숲
,

고둥의 독은 같은 조개독이라도 두껍질조개의 독과는 완전히 다르다. 두껍질조개의 독은 조개 자체 내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플랑크톤 때문에 만들어지지만, 고둥은 스스로 독을 만든다.

고둥의 껍데기는 그 형태와 문양이 독특하고 아름다워, 전 세계적으로 고둥의 껍데기만 모으는 수집가가 있을 정도다. 어떤 것은 투기 대상이 되어 아주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수중 다이버들 사이에서 고둥은 아름답지만 매우 위험한 생물이다.

그도 그럴 것이 고둥 독은 조개독 중에서도 최강의 독성을 자랑하기 때문이다. 고둥에는 긴 작살과 같은 치설(齒舌)*이라는 기관이 있다. 육식동물인 고둥은 자고 있는 물고기를 치설로 찔러 독을 주입한 후 마비시켜 그대로 삼킨다.

고둥의 독은 여러 가지 독으로 이루어진 코노톡신(conotoxin)이라고 하는 신경 독의 일종이다. 이 독은 신경세포의 이온 통로를 차단하기 때문에 감각을 마비시키거나 경련을 일으켜 몸을 움직일 수 없게 만든다. 인공호흡, 심폐소생술과 같은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호흡곤란으로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출처: <독은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는가>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다나카 마치(田中真知) 

과학 전문 작가이자 번역가로 활동하며 전문 분야의 글쓰기에 재능을 발휘하고, 특히 과학 분야의 특정 주제를 알기 쉽게 풀어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 이집트에 머물면서 아프리카·중동 각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취재, 여행하며 여행의 기록을 책으로 펴내 큰 인기를 얻었다. 저서로는 『도서관 탐험 – 자연이 만든 형태』 『아프리카 여
행기』 『어느 날 밤, 피라미드에서』 『지구에서 산다(전4권)』 등이 있고, 역서로는 그레이엄 행콕의 『신의 지문』 『혹성의 암호』 등이 있다. 

 감수 _정해관 

국립독성연구원에서 신경독성과 유전독성분야의 연구를 담당했으며,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 보건연구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1972년 건국대학교 축산대학을 졸업하고 1982년 동 대학원 생물학과 미생물학을 전공해 이학석사가 되었다. 1982년 일본 정부 초청으로 일본동경대학대학원 농예화학 전문과정에서 구조 분자생물학을 전공해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8년부터 국립보건안전연구원(현 국립독성연구원) 보건 연구관으로 재직했고, 1991년에는 미국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NIEHS)의 객원연구원을 거쳐 1994년에는 일본국립암센터연구소 초빙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암 억제 유전자의 기능 해석에 관한 연구를 했다.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버섯의 세계  (0) 2022.07.28
아름다운 꽃에는 독이 있다  (0) 2022.07.25
동물 독의 종류  (0) 2022.07.18
뇌에 치명적인 독 – 마약, 알코올, 니코틴  (0) 2022.07.14
독과 약의 공통점과 차이점  (0) 2022.07.11
Posted by 전나무숲
,

동물이 가진 독은 대부분 단백질로 이루어진 신경 독이다. 신경 독은 상대방의 움직임을 한순간에 마비시키는 위력을 갖고 있다. 적의 근육을 마비시켜 공격하지 못하게 만든 후 자신은 도망가거나, 반대로 사냥감을 포획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모든 동물이 다 독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포유류나 조류와 같은 고등 온혈동물은 대부분 독이 없는 반면, 파충류나 양서류, 어패류, 강장동물, 곤충 등에는 독이 있다. 일설에 따르면, 독이란 진화 단계에 있어서 하위 단계에 있는 하등동물이 보다 진화한 고등동물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갖게 되었다고 한다.

독을 지닌 동물도 그 종류에 따라 독의 성질이 제각기 다르다. 복어 독이나 조개독처럼 스스로 독을 만들지는 못하지만, 해조류와 같은 먹이를 통해 몸속에 독을 축적하는 동물들이 있는가 하면, 고둥처럼 스스로 독을 만들어 내는 동물도 있다. 뱀독은 크게 신경 독과 출혈 독으로 나눌 수 있는데, 어느 쪽의 독을 더 많이 가졌는지는 뱀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출처: <독은 우리 몸에 어떤 작용을 하는가>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다나카 마치(田中真知) 

과학 전문 작가이자 번역가로 활동하며 전문 분야의 글쓰기에 재능을 발휘하고, 특히 과학 분야의 특정 주제를 알기 쉽게 풀어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1990년부터 1997년까지 이집트에 머물면서 아프리카·중동 각지를 다양한 관점에서 취재, 여행하며 여행의 기록을 책으로 펴내 큰 인기를 얻었다. 저서로는 『도서관 탐험 – 자연이 만든 형태』 『아프리카 여
행기』 『어느 날 밤, 피라미드에서』 『지구에서 산다(전4권)』 등이 있고, 역서로는 그레이엄 행콕의 『신의 지문』 『혹성의 암호』 등이 있다. 

 감수 _정해관 

국립독성연구원에서 신경독성과 유전독성분야의 연구를 담당했으며,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 보건연구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1972년 건국대학교 축산대학을 졸업하고 1982년 동 대학원 생물학과 미생물학을 전공해 이학석사가 되었다. 1982년 일본 정부 초청으로 일본동경대학대학원 농예화학 전문과정에서 구조 분자생물학을 전공해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8년부터 국립보건안전연구원(현 국립독성연구원) 보건 연구관으로 재직했고, 1991년에는 미국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NIEHS)의 객원연구원을 거쳐 1994년에는 일본국립암센터연구소 초빙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암 억제 유전자의 기능 해석에 관한 연구를 했다.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