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A와 DHA는 대표적인 오메가-3 지방산이다. 오메가-3 지방산 섭취를 늘리면 혈압을 낮출 수 있다. 60건 이상의 이중 맹검 연구에서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줄이고 오메가-3지방산을 하루에 15ml씩 섭취하면 수축기와 확장기 혈압이 모두 9mmHg 정도 낮아진다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EPA·DHA는 등 푸른 생선에 풍부하며 고혈압을 비롯한 만성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EPA(에이코사펜타에노산)는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액을 맑게 만들고 혈전의 형성을 막는다. 또 중성지방과 LDL콜레스테롤을 줄이고 HDL콜레스테롤을 늘린다. EPA의 이런 기능은 동맥경화증이나 심근경색증, 뇌경색,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크게 도움이 된다. EPA를 효과적으로 섭취하려면 조리 과정에서 생선의 지방이 손실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회로 먹거나 국물로 녹아나온 지방도 섭취할 수 있는 조림이나 국물 요리가 좋다. EPA는 꽁치, 전갱이, 정어리, 고등어 같은 등 푸른 생선에 풍부하다. DHA(도코사헥사에노산)는 혈관 벽에 있는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줄여준다. 또 세포막의 유동성을 높여서 혈관 벽의 세포를 유연하게 만들어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한다. DHA의 이런 기능은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뇌경색 같은 만성질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
DHA는 EPA와 기능적으로 비슷하지만 다른 점도 있다. DHA는 뇌와 뇌 신경조직의 발육에 필수적인 뇌의 구성 성분이지만, EPA는 뇌 입구에 있는 ‘혈액-뇌 관문’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것이 DHA와 EPA의 가장 큰 차이이다. 이런 점에서 DHA가 뇌의 신경세포 소실로 뇌가 위축되는 알츠하이머병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출처: <고혈압 치료, 나는 혈압약을 믿지 않는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선재광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했다. 동 대학에서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 대한한방병원 원장을 지냈다. 부친의 고혈압 투병을 계기로 고혈압 연구에 매진하게 되었고, 자연치유력을 높여 고혈압·암·당뇨 등 생활습관병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의 고혈압 연구 성과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내경경락진단기(IEMD)’를 개발하여 5천 명 이상의 고혈압 환자를 진단, 고혈압의 원인을 4가지 유형으로 밝혀냈다는 점이다. 또한 각 원인에 따른 한약과 침법·뜸법 등 다양한 치료법을 개발하였으며, 내경경락진단기를 통한 고혈압 분석 방법과 해석법에 관한 내용으로 2건의 특허를 받았으며, 또한 기존 뜸의 단점인 연기와 냄새를 없애고 열 전달률과 안전성을 높인 ‘별뜸’을 개발하여 6건(15종)의 국내외 특허도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겸임교수, 경락진단학회 명예회장, 별뜸연구소 소장, 대한한의원 중곡동) 원장으로 재임하면서 한의학의 진단과 치료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그는 학회활동과 강좌, 방송을 통해서도 고혈압의 근본적 치료의 중요성을 전파하고 있다. 2010년에 ‘한방고혈압연구회’를 발족해 매달 한의사들에게 고혈압의 한방 치료에 대한 강의를 하고 있으며, 2012년에 ‘한기연(한의학 기초연구회)’을 결성해 10년 계획으로 한의과대학 학생들에게 한의학의 우수한 치료법을 가르치면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일반인을 위한 건강강좌도 활발히 하고 있는데, 원음방송 라디오와 한방건강TV에서는 고혈압·암·당뇨 등 ‘생활습관병에 관한 강의’로 많은 사람들의 극찬을 받고 있으며, KBS ‘생로병사의 비밀-고혈압 약 없이 치료하는 편’과 MBC ‘오늘 아침’의 ‘고혈압 명의는 어떻게 식사를 하나’ 코너에 출연해 고혈압의 한의학적인 치료법과 식단을 소개하기도 했다. 또한 MBN ‘엄지의제왕-피 해독1, 2, 3편’에서 ‘청혈주스’의 만성질환 개선의 놀라운 효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 외에 임상연구 발표, 각종 강의와 난치병에 관한 책 저술 활동 등도 활발히 하고 있다.
저서로는 《청혈주스》, 《암, 고혈압, 당뇨 잡는 체온 1도》, 《경락 이론과 임상적 활용》, 《내경경락진단학》, 《내경경락 치료학》, 《운기통합 승강침법》, 《내경경락진단기의 임상 활용과 양도락의 핵심 내용》, 《생명을 볼 수 있는 지혜의 눈, 망진》, 《쑥뜸, 생명의 빛-건강과 장수의 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