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을 강화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코로 숨을 쉬는 것도 매우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코로 숨쉬는 것이 뭐 그리 대단하냐고 말하기도 합니다. , 그럼 하나의 사례를 함께 살펴보시죠.

 연구 결과는 2004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국제 심포지엄인 제9CCT(Ceramics, Cells and Tissues)에서 발표되어 상당한 관심을 받았던 사례입니다.

구강 점막에 홍색의 이끼와 같은 것이 끼어 치과로 진찰을 받으러 간 24세의 여성이 있었습니다. 당시 그녀는 '편평홍색태선(扁平紅色苔癬)'이라는 진단을 받았고 이는 치과에서는 절대로 고칠 수 없는 질병이라는 이야기까지 들었습니다.

그녀는 심한 좌절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특히 당시 그녀는 딱딱한 음식을 먹을 수가 없었기 때문에 변비로도 고생하고 있어 무기력 상태에 빠져 있기도 했습니다.

Nasal Oral Cavity 1
Nasal Oral Cavity 1 by GreenFlames09 저작자 표시

하지만 그녀의 입술 모양으로 보아 입으로 호흡하는 습관이 있음이 분명하였고 사다리꼴 모양의 치아는 그녀가 좌우로 옆으로 누워서 자는 버릇이 심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고 합니다.

또 그녀는 좌우의 경부
(頸部) 림프절이 부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먼저 비타민제를 투여한 다음 김치, 명란젓, 간장, 와사비 같은 짠 음식을 줄이고 따뜻한 우유나 날계란을 먹도록 영양지도를 했습니다.

또한 그녀에게 입으로 호흡하던 것을 코로 호흡하고 한 쪽으로 씹던 버릇을 양 쪽으로 씹도록 하고 잘 때도 위를 보고 누워서 자라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하지만 처음 그녀는 이 말을 잘 믿지 않는 듯 했습니다. 

nose (knows)
nose (knows) by flyzipper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하지만 놀랍게도 절대 나을 수 없다는 질병이 낫기 시작했습니다. 그녀 스스로도 무척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생활습관의 변화는 상당한 과학적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입으로 호흡을 한다는 것은 입의 점막이 약해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면역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점막은 인체와 외부를 차단하는 곳으로서 외부의 세균을 막고 면역력을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코로 호흡을 하게 되면 이 점막이 약해지니 면역력 역시 약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난치성으로 말해지는 면역병의 치유 사례는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신진대사(리모델링)를 활성화하고 세포의 소화력을 높이는 올바른 신체 운동,그리고 정상적인 에너지 대사를 위한 순환계와 호흡계만 회복시킬 수 있다면 그러한 질병은 더 이상 난치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면역력을 높이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조금씩 생활 습관을 바꾸다 보면 당신의 몸도 강한 면역력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요즘은 야외에 나가기 참 좋은 때입니다. 오락가락하던 이상기온도 모두 지나가고 푸르른 자연이 자신의 위용을 들어내는 5월이 되었습니다.

물론 야외에서 놀 수 있는 곳은 많습니다. 놀이공원도 있고 강도 있고 바다도 있습니다.
하지만 몸과 마음의 건강을 생각한다면 무엇보다 을 추천합니다.

Magic! between the trees
Magic! between the trees by fatboyke (Luc)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숲에는 우리가 생각치도 못했던 무한한 건강함이 가득합니다. 사실 생각해보면 숲이란 인류의 오랜 동반자이자 치유자이기도 합니다. 의학이라는 것이 없었던 인류 초기의 시대에는 약초와 숲에서 나오는 신선한 공기가 바로 의사이기도 했습니다.

거기다가 많은 먹을거리가 있었으니 인간이라는 존재와 숲이라는 존재는 결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던 것입니다.

특히 숲은 인간의 마음에 평온함과 안정감을 줍니다. 하버드 대학의 윌슨 교수는 이를 바이오필리아(biophilia)'라고 했습니다. 인간이 자연에 의존하는 속성을 가르키는 말입니다.
사람들이 숲의 녹색을 접하면 마음이 평온해지고 심신이 피곤할 때 숲을 찾는 이유도 바로 숲이 인류와 오래 함께 함으로써 그러한 본능이 유전자 속에 뿌리박혀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숲은 육체건강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일본에서 말기 암환자들에게 아름다운 숲이 찍혀 있는 비디오를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그 결과 그들이 느끼는 통증은 훨씬 완화되었습니다. 이유는 바로 숲의 아름다움이 고통을 잊게 하는 도파민을 배출하도록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혈압과 맥박을 정상치로 낮추고 근육의 긴장도 완화시켰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

A walk into the bamboo paths
A walk into the bamboo paths by PacoAlcantara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우리가 알고 있는 피톤치드 역시 심폐기능을 강화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합니다. 숲이 발산하는 음이온 역시 현대인의 지쳐있는 몸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도시 생활은
한마디로 '양이온에 시달리는 생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사람의 몸이 스트레스에 시달릴 때에는 양이온을 다량배출하게 됩니다. 하지만 숲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은 이러한 양이온을 상쇄시키고 신경을 진정시켜 혈액순환을 돕습니다.

숲은 백익무해’(百益無害)한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오래 있어도 해가 될 것은 단 한 가지도 없으며 오로지 인간에게 이득만을 주는 곳이라는 이야기입니다.

푸르른 녹음이 시작되는 5, 숲에서 보내는 고요한 시간들은 몸과 마음을 변화시키고 나아가 자신의 일상에 새로운 활력마저 불어넣어 줄 것입니다 ^^

Posted by 전나무숲
,


                                                                                                        2010년 3월 23일  /  제 152호

현대인들은 끊임없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취업, 승진, 육아, 갱년기 등의 스트레스 발생 요인들이 계속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의 하나로 ‘숲에서 걷기’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길
길 by _Gene_ 저작자 표시변경 금지

숲에서 분비되는 피톤치드는 면역력을 활성화시키고 심리적 안정을 가져다 준다. 또 숲길을 걸으면 사람의 뇌 속에서 세로토닌이라는 뇌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된다. 세로토닌은 스트레스 해소를 돕고 마음을 차분하게 해주는 조절물질로서 햇빛을 받으면 더 활발해진다. 즉 숲에서 걸을수록 세로토닌은 더 많이 발생된다.

스트레스 해소와 마음의 안정을 위해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공간에서 자주 걷는 것이 좋다.                                                - 모리모토 가네히사 외, <산림치유> 중에서
-----------------------------------------------------------------------
한국인들은 주로 술에 의존해 스트레스를 풀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하지만 술은 오히려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주말에는 숲을 찾아 활기차게 걸으며 일주일 동안 쌓였던 스트레스를 풀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뇌에서 분비되는 ‘행복물질’ 세로토닌이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은 물론, 다음 한주동안 활기차게 보낼 수 있는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입니다.

     이 건강편지를 매일 이메일로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forest@firforest.co.kr 로 메일 주세요 ^^

Posted by 전나무숲
,



                                                                                                        2010년 2월 11일  /  제 125 호

밤 11시, 12시까지 깨어 있는 아이들을 흔히 볼 수 있다. 더구나 밤늦게 귀가한 아빠가 한창 자고 있는 아이를 깨워 놀아주기도 한다.

어른과 아이의 활동 시간은 분명히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른의 활동리듬에 맞춰 생활하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 이 상태로는 아이들의 면역력이 자라기를 기대할 수 없다.

So cute!

So cute! by Nicolas Hoizey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아이들이 아토피나 알레르기질환 등의 질병에 잘 걸리지 않고, 튼튼하게 자라나려면 낮에 활동하고 밤에 쉬어야 하는 인체의 고유한 생체리듬에 맞춰 생활해야 한다.

                                       -후쿠다 미노루, 이토 야스오 <부모가 높여주는 내 아이 면역력> 중에서

 
-------------------------------------------------------------------------
 
 요즘 아이들은 ‘신나게 뛰어논다’는 것을 경험하는 것조차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학교-학원-집’으로 쳇바퀴처럼 돌기 때문입니다. 결국 아이들이 하는 놀이란 가만히 앉아서 하는 컴퓨터 게임에 불과합니다.

Happy mom & lovely kids.
Happy mom & lovely kids. by toughkidcst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신체활동이 적으면 밤에 잘 자지 못해 면역력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이어집니다. 아이의 수면시간 확보를 위한 부모들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이 건강편지를 매일 이메일로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forest@firforest.co.kr 로 메일 주세요 ^^

Posted by 전나무숲
,

아토피를 앓는 자녀를 보는 부모의 마음은 괴롭기 그지 없습니다. 시도 때도 없이 벅벅 긁어대면서 고통을 눈물로 호소하는 아이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괴롭기 때문입니다.

아토피를 낫는 데에는 다양한 치료법이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아이들의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가장 확실한 치유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의 면역력은 충분히 높아질 수 있습니다.

지난 1탄에 이어 아토피를 유발하는 아이들의 잘못된 생활습관, 2탄을 통해 우리 아이들의 면역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함께

■ 올곧은 자세을 유지하고 발이 편안한 신발을 신겨야 한다

체격은 좋으면서도 등이 굽은 아이들이 많습니다. 운동 부족으로 근력이 충분히 자라지 못해 근육이 뼈를 제대로 지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은 아이에게도 무지외반증 등을 일으킵니다. 아이의 성장에 맞춰 신발을 골라줘야 합니다.

주변에는 교감신경이 분포해 등을 곧게 세운 자세는 면역력을 높입니다. 석 달에 한 번씩 발과 신발을 잘 살펴 맞는 신발을 신기면 발을 제대로 딛고 서서 바른 자세로 걷게 됩니다.

■ 활발한 신체 활동으로 땀을 흘려야 한다

인간은 항온동물로 36.5℃ ~37℃의 체온을 유지해야 합니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 넷 중 한 명은 체온이 35℃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 원인 중 하나는 아이들이 땀을 잘 흘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 년 내내 온도가 조절되는 실내에서 지내니 땀을 내서 체온을 스스로 조절하는 기능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게 합니다. 또 신체활동이 부족한 것도 원인입니다.

저체온이 되지 않도록 건강하게 뛰어놀고 땀도 흘리게 하고, 배와 하체를 따뜻하게 해줘서 잠을 푹 재웁니다.

■ 모유를 먹일 때는 엄마의 몸이 따뜻해야 한다

요즘 엄마들의 모유 온도는 낮습니다. 모유에는 아이의 면역기능을 높이는 장점이 있는데, 모유가 차면 그 성분이 제 기능을 못합니다. 차가운 모유를 먹기 때문에 아기의 몸도 차가워집니다. 이는 알레르기체질이 늘어나는 원인이기도 합니다.

여성 몸의 냉증은 본인 외에 몸이 찬 엄마에게서 태어난 아이에게도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 입으로 숨 쉬는 아이, 감기에 자주 걸린다

감기가 잦은 아이들의 공통점은 코 대신 입으로 숨 쉬는 버릇이 있습니다. 코로 숨을 쉬면 미세한 세균 등을 걸러내는 과정이 있지만, 입으로 숨을 쉬면 곧장 아무 제지 없이 숨을 들이 쉬므로 만성적 세균 감염 상태가 됩니다.

이는 면역기능을 손상시키고 감기에 잘 걸리게 합니다. 코가 막힌 것도 아닌데 입으로 숨을 쉬는 것은 면역력을 낭비하는 것입니다. 부모가 옆에서 잘 관찰하고 바른 버릇을 들이도록 합니다.

아이들의 아토피, 천식, 알레르기질환은 태아 때부터의 잘못된 관리가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고, 영유아 시절의 잘못된 습관들이 성인돼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모의 육아방식, 아이의 식습관, 생활습관을 유심히 관찰하면서도 과잉보호를 피하면서 바른 습관을 들이도록 해야 합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