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세끼는 꼭 챙겨 먹어야 한다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늘 들어오던 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시간에 맞춰 하루에 세끼를 꼬박 꼬박 챙겨먹어야만 한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고 어느 덧 그것은 우리의 일상이자 문화가 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요즘같이 먹을 것이 풍부한 세상에 거의 먹지 않고도 건강하게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거의 먹지 않고 사는 사람-뺄셈식 생활혁명 이라는 책을 통해서 시바타식 감량법을 선보였던 시바타 도시히코(柴田年彦) 씨가 그 주인공입니다. 그는 일 년 동안 하루에 단 500kcal씩만 섭취하고도 더욱 건강해져서 주위를 놀라게 했습니다. 500kcal면 보통 성인 남성이 하루에 섭취하는 열량의 5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Cheese, Bread and Cookies
Cheese, Bread and Cookies by PetitPlat by sk_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그의 사례를 본다면
사람은 세끼를 먹어야 한다는 말이 모두에게 통용되는 것만은 아니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의 식사법은 소식보다 절식에 가까운 수준이지만 우리 몸은 그런 상태를 견딜 수 있을 만큼 적응력이 있고 유연합니다.


단식은 처음 며칠은 힘들어도 그 고비만 넘기면 사나흘째부터는 배고픔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대사 저하로 오히려 기분이 차분해지고 뇌가 활성화되어 감각이 예민해집니다. 옛말로 도인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 것이지요.

물론 식사를 제한해서 다이어트를 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이렇게 하게 되면 저체온이 되고 혈류장애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가벼운 운동을 해서 몸이 열을 내도록 해야 합니다. 애쓴 만큼 체중 감량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단식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지금의 현대인들은 너무 많이 먹고 있다는 것만큼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반드시 세끼를 먹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지금보다 훨씬 덜 먹을 수도 있고, 그렇다고 해도 건강에 큰 차질은 생기지 않는다는 보다 여유로운 생각을 가질 필요가 있겠습니다.

또 식사 시에 채식과 현미만을 드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물론 현미는 영양을 고루 갖춘 이상적인 식품입니다. 면역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젊을 때부터 현미·채소식만 고집해야 할까요?


Subji Display

Subji Display by Meanest Indian 저작자 표시변경 금지

채식 위주로 먹으면 림프구가 늘어나는 것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부교감신경이 우세해지기 때문에 활력이 잘 솟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에 추진력을 발휘하기도 어렵고 진취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하기도 벅찹니다. 젊은 사람이 채식만 하면 박력이 없다고 하는 이유도 그 때문입니다.

무리한 생활로 인해 암이 생겼다면 당연히 잘못된 생활 습관을 고쳐야 합니다. 그와 더불어 식단을 현미 채소식으로 바꾸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선택입니다. 그러나 20~30대부터 암을 걱정해서 먹는 것에 이런저런 제한을 하다 보면 자칫 삶의 목표마저 흐려질 수 있습니다.

지금 내 몸이 건강할 때는 고기도 먹고 생선도 먹되 대신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균형 있는 식단이 바람직합니다. 너무 먹는 것에만 골몰해서 채식과 현미만을 고집하는 것도 활기차고 즐거운 인생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많은 분들이 먹는 것과 운동만이 면역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면역력은 무엇보다도 마음상태와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보면 진정으로 자유로울 때, 인간은 가장 건강한 상태가 될 수도 있을 듯 합니다. 먹을 것을 주의하되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고, 운동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지만 또 때로는 까짓 것 몇일 운동 안했다고 죽기야 하겠어!’라고 생각하며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야 합니다.


편하고 자유로운 마음 상태가 되는 것, 그것이 바로 건강의 지름길이기도 합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연일 폭염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럴수록 차가운 음식에 대한 유혹이 강해집니다. 어른, 아이 할 것없이 팥빙수나 아이스크림에 손이 가는가 하면 어른들은 시원한  맥주 한 잔'에 대한 생각이 간절합니다. 


연 아이스크림...
연 아이스크림... by 아침꿀물 저작자 표시변경 금지


그러나 이렇게 차가운 음식들은 인체 곳곳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 특히 차가운 음식은 두뇌에도 영향을 미쳐 각종 질병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아이스크림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서는 미토콘드리아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이 미토콘드리아는 전신 세포의 체온 유지는 물론 인체에 필요한 다양한 에너지를 만들어 낼 뿐만 아니라 각 세포에 특유의 호르몬 등을 분비하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HO Phase Contrast Image-2
CHO Phase Contrast Image-2 by Exothermic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따라서 미토콘드리아가 활동을 멈추면 생명에도 직접적인 영향이 있을 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미토콘드리아는 온도에 상당히 민감합니다. 따뜻하면서 적절한 온도를 유지해주어야만 제대로된 활동을 할 수 있게 되고 우리 몸을 활력 넘치게 만들어 줍니다.

그런데 팥빙수나 아이스크림은 인체의 온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미토콘드리아의 활동을 결정적으로 방해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차가운 음식을 먹게 되면 소화기관의 근육내장인 내장 평활근이 차가워지게 됩니다


연이어 세균이 백혈구 안으로 들어가게 되어 혈액 곳곳을 헤집고 다니게 되죠. 뿐만 아니라 내장 평활근에 분포해 있던 부교감신경과 척수의 뉴런을 통해 그 반응이 곧바로 대뇌변연계로 전해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원래 뇌에서 만들어지는 신경전달물질의 하나인 아세틸콜린이 생성되지 않아 신경성 장애가 일어나게 되고 세로토닌, 아드레날린 등의 생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정신이 흐려지게 되거나 우울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가 있습니다.

어제 낮에… 코믹한 쿠바씨^^
어제 낮에… 코믹한 쿠바씨^^ by redsoul405 저작자 표시변경 금지

뿐만 아니라 피부나 뇌의 상피하조직의 세포가 백혈구에 의해 운반된 장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경우도 있습니다.

더위를 잊거나 입맛을 만족시키기 위해 먹었던 팥빙수와 아이스크림이 이렇게 두뇌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많이 알지는 못하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장을 따뜻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두뇌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음식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고 넘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내 환경을 좋게 하려면 구연산을 함유한 매실짱아찌, 낫도균을 함유한 낫도, 프락토올리고당(fructooligosaccharide)을 함유한 양파, 마늘, 우엉, 유산균이나 비피더스균을 함유한 알벡스(유산균 가공식품)와 같은 식물성 농축액, 불용성 식물섬유인 글루칸(glucan)을 함유한 말린 버섯, 목이버섯, 송이버섯 등 정장 작용을 해서 면역기능을 높이는 식품을 즐겨 먹는 것이 좋습니다 

입맛이 없는 여름일수록, 더욱 먹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 건강한 여름을 보내야 하겠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우리의 몸과 마음이 하나라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 둘의 구체적인 관계에 대해서는 정작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지고 보면 마음이라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것 같고, 몸은 매우 구체적인 것 같은데, 그 둘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죠.

이제부터 좀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걱정과 폐암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어떤 일로 심각하게 고민하게 되면 가슴이 답답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때 사람들은 어깨가 축 늘어지고 상체가 앞으로 구부정해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가슴이 압박을 받게 되고
숨이 앝아지면서 호흡기계 질환이 걸리기 쉽게 됩니다
.

NEW YORK - JUNE 29: A trader works on the floor of the New York Stock Exchange during late day trading on June 29, 2010 in New York City. Following new signs of a continued and significant global economic slowdown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dropped almost 270 points today, or 2.7% to 9870.30. (Photo by Spencer Platt/Getty Images)

이것이 심해지면 바로 폐암으로 연결이 되는 것이죠. 사실 몸의 특정부위가 충격을 받거나 지속적으로 무리를 받게 되면 그곳에 바로 병이 생기기 쉽습니다. 특정 부위에 과립구가
몰려들게 되고 그 때문에 인근 부위에는 혈액순환 장애가 일어나고 결국 암세포가 생기는 것이죠
.

걱정과 폐암이 무슨 상관일까라는 생각을 할 수 있지만 실제 의학적으로 이렇게 아주 긴밀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대인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대에게 화를 내게 되면
순식간에 림프구가 줄고 과립구가 올라가게 됩니다
.

교감신경이 긴장하기 때문에 혈압도 순간적으로 200mmHg도 넘게 올라가게 됩니다. 혈압이 올라가니 몸 상태도 비정상적으로 변하게 되고 결국 그간 제일 약했던 부위부터 아프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

어떻습니까. 이제는 좀 마음과 몸의 연관관계에 대해서 잘 아셨습니까?

흔히 행복하게 살면 건강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그럴 것이다라는 예측이나 비과학적인 이야기가 아닙니다. 즐겁고 행복한 인생은 실제로 몸을 강하게 만들고 면역력을 키워서 우리가 더욱더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몸을 만들어주는 것이지요.

행복, 그것은 우리가 살면서 추구해야할 절대선이자, 우리의 일상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하늘이 준 선물일 것입니다 ^^
 

 

Posted by 전나무숲
,

최근 들어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무척 많아졌습니다. 신종 플루를 겪으면서 언론에서도
면역력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왔고
, 건강에 점점 관심이 많아지면서 우리 몸을 지키는
내 안의 힘인 면역력에 대한 인식도 점점 확산되고 있는 것이죠.

그런데 면역력의 원천이 되는 면역계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이 두 가지를 구분해서 알게
되면 면역력 강화에 대한 또 다른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다
.

, 그럼 한번 살펴볼까요?

우선 흔히 암에 걸리는 사람들은 나이가 좀 있으신 분들입니다. 대개 50대가 넘어가면서
본격적으로 암에 걸리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죠
.

사실 30대까지는 몸에 웬만큼 무리가 가도 좀처럼 몸이 아프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40살이 넘어가면서부터 이제 몸은 무리하는 것을 싫어하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몸이 지속적으로 혹사당할 때에는 피곤함이 오래가고 스트레스를 풀기가 좀처럼 쉽지 않습니다.

The Scotsman
The Scotsman by Extra Medium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문제는 나이가 50대가 넘어갈 때입니다. 이때부터는 흔히 암연령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그만큼 암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이야기죠. 그런데 이렇게 생각해보면 나이가 들면 면역력이 약해지는 건은 당연하구나!’라는 오해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체는 정말로 오묘해서 오래된 면역계새로운 면역계라는 두 가지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래된 면역계는 눈물샘, 편도, 장관 등에서 세포의 이상과 변화를 감시하는 면역계이며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비교적 초기에 성립된 것입니다.

새로운 면역계는 가슴샘, 림프절, 비장 등에서 외래 항원에 대항하는 면역계입니다. 이것은 진화 과정에서 나중에 성립된 것입니다.

젊을 때는 새로운 면역계가 중심 역할을 하고, 나이가 들면 오래된 면역계가 그 역할을 이어받습니다. 이렇게 나이에 따라서 그때 그때 활약하는 면역계는 달라지게 되고 이를 통해서 우리 몸은 평생 동안 강한 면역력으로 건강하게 지낼 수 있는 것이죠.

따라서 '나이가 들면 어쩔 수 없이 암에 걸릴 수밖에 없다'는 것은 분명 잘못된 생각입니다. 그렇다면 문제는 뭘까요? 그것은 바로 우리 몸의 체력 자체가 약해져서 적극적으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그 결과 림프구의 비율이 떨어진다는데에 있습니다.

노인대학 설악산
노인대학 설악산 by Steven Ha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따라서 아무리 나이가 들었다 하더라도 우리는 지켜주는 오래된 면역계가 있고 체내의
림프구 비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면 암에 걸릴 일은 없습니다
. , 노년에도 충분히 면연력을 높이면서 각종 질병에 맞서 싸울 수 있는 몸을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면역력 강화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흐트러진 자율신경의 균형을 바로잡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지요. 자율신경은 이름에서도 드러나듯이 내 의지와 관계없이 무의식적 상태에서 자율적으로 작용하는 신경을 뜻합니다. 그런데 사실 자율신경을 의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하나가 호흡입니다. 어떤 일로 흥분했을 때 여러분은 보통 어떻게 하나요? 아마도 흥분을 가라앉히려고 심호흡을 하는 분이 많을 겁니다. 교감신경이 우세하면 숨이 얕고 빨라지는데 그럴 때 숨을 깊고 천천히 쉬면 부교감신경이 우세해지기 때문입니다.

우리 몸에서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마치 시소를 타듯 오르락내리락하며 긴장하고
이완하면서 서로 균형을 잡고 있습니다
몸에서 일어나는 이런 작은 변화들까지 알아차려야 합니다. 내 몸이 보내는 소리와 신호에 귀를 기울이면서 잘못된 생활 습관을 고쳐가면 자율신경도 균형있게 작용하고 면역력도 반드시 강해집니다.

이제 나이가 든다고 반드시 면역력이 낮아진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신의 노력에 의해서 얼마든지 면역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사실, 결코 잊어서는 안되겠습니다 ^^

 

Posted by 전나무숲
,


여름이면 유난히 물을 많이 마시게 됩니다
. 땀으로 수분이 배출되기 때문에 수분부족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각종 언론을 통해 여름철의 수분 공급을 강조하는 건강기사를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물론 우리 몸의 약 70%가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니 수분보충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현대의학에서는 수분은 섭취하면 반드시 배설된다고 보고 수분을 많이 섭취하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분이라고 해서 마시면 반드시 배설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과도한 수분섭취는 몸을 차갑게 만들어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Habanero splash by Tambako the Jaguar 저작자 표시변경 금지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는 과도한 에어컨의 사용으로 인해 오히려 몸이 차가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과도한 수분과 몸의 냉기, 그리고 통증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이가 차게 자서 설사(물 같은 변)를 하고 복통이 있다 : 냉기수분통증
과도한 냉방은 두통을 일으킨다 : 냉기통증
비가 오면 신경통이 심해진다 : 수분통증
비를 맞으면 몸이 차가워진다 : 수분냉기

예를 들어, 튼튼한 젊은이라도 겨울 산에서 조난을 당하면 부상이 없어도 사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체온이 낮아져 결국 생명을 위협하기 때문입니다. 하루 중 기온과 체온이 최저가 되는 오전 3시에서 5시에는 사망률이 가장 높기도 합니다. 천식이나 이형 협심증으로 인한 발작도 이 시간대에 잦습니다

비를 맞으면 몸이 차가워지고, 목욕 후에 물기를 제대로 닦지 않으면 체온이 내려가는 현상에서 알 수 있듯이, 수분을 많이 섭취했지만 이를 충분히 배설하지 못하면 몸이 냉해지고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증상을 한방에서는 2000년 전부터 수독(水毒)’이라고 불렀다. 결막염(눈물)이나 비염(재채기, 콧물), 천식(물 같이 묽은 가래), 아토피(습진)와 같은 알레르기 질환도 모두 수분 과잉인 수독(水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수독이나 냉증이 있으면, 맥을 빨리 뛰게 해 신진대사를 높이고 발열을 촉진해 냉증에서 벗어나려는 반응을 보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맥박이 1분 동안에 10회 빨라지면 신진대사가 약 12퍼센트, 체온이 약 1도 상승한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빈맥이나 부정맥도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증상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 류머티즘을 비롯한 요통, 무릎 통증과 같은 기타 다양한 통증도 수독이나 냉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입욕을 통해 몸을 따뜻하게 하거나, 혹은 따뜻하고 건조한 계절이 되면 통증이 경감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점을 고려해 혈전을 막고
, 혈액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 수분을 보급할 필요가 있다면, 몸을 따뜻하게 하고 신장의 혈류를 좋게 해 발한과 배뇨를 촉진시켜 주는 수분, 체내에 축적되지 않는 수분으로 보급해야 합니다.

체내에 축적되지 않는 수분이란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이뇨 작용을 하는 수분을 말합니다. 홍차, 생강홍차, 허브티, 다시마차 등이 바로 이러한 수분의 종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Strobist Tea by Doha Sam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반면 녹차, 커피, 청량음료수는 몸을 냉하게 하고 비록 따뜻하게 데워마신다고 해도 원산지 자체가 남방이기 때문에 몸이 냉해지는 것을 막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우리들의 몸은 말하자면
소금물에 담겨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홍차나
생강홍차
, 허브티에 소금을 조금 첨가하면 수분 흡수와 이용이 좋아지고, 아주 묘한 맛이 납니다. 또 다시마차는 소금기를 머금고 있어 그대로 마셔도 효과가 아주 좋습니다.

우리의 심리 상태도 체온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좋지 않은 감정은 체온을 낮추고, 면역력을 떨어뜨려 병에 쉽게 걸리게 하죠. 반대로 언제나 밝고 적극적으로 취미생활에 몰두하거나 남을 위해 봉사하거나 감사하는 기분을 느끼며 생활하면 체온이 올라가고, 백혈구의 힘이 강해져 면역력도 높아집니다.

덥다고 무조건 차가운 물, 에어컨 바람을 원하는 것은 우리 몸에 좋지 않다는 점, 이 여름이 끝날 때 까지 꼭 기억해야할 것입니다 ^^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