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나무'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4.11.18 보이차를 이해하는 출발점, 차나무 1

한국인에게는 차나무가 익숙하지 않다. ‘소나무’, ‘느티나무라고 하면 직관적으로 어떤 나무인지 떠오르지만, ‘차나무는 정확하게 그려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가 아니기 때문이다. 애초에 우리나라에서는 기후적으로 차나무가 잘 자라지 않았다. 차나무는 동백나무속(Camellia)에 속하며 무려 200여 종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 많은 종의 차나무에서 아무 찻잎이나 따서 우려낸다고 차가 되는 것은 아니다.

중국이 원산지인 시넨시스종(sinensis), 인도의 아사미카종(assamica), 캄보디아의 캄보디엔시스종(cambodiensis)으로만 차를 만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품질이나 생산성 면에서 중국의 시넨시스종이 압도적이다. 다도 문화로 유명한 일본의 경우, 대부분 중국 차나무의 변종을 키우고 있다. 우리나라 차나무 또한 최소 1000년에서 2000년 전에 중국, 혹은 인도에서 유입된 것이다. 차나무는 재배 방식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산에서 야생으로 자란 나무로, 높이가 3~4m를 훌쩍 넘으며 큰 것은 30m에 이르기도 한다.

이 나무들은 대부분 수령이 100년 이상인 야생에서 자란 늙은 차나무이다. 이런 차나무에서 채취한 찻잎으로 만든 차를 고수차(古樹茶)’ 또는 교목차(喬木茶)’라고 부른다. 화학비료와 농약을 접할 가능성이 거의 없고 자연의 맛과 향을 풍부하게 품고 있어서 내포성(內包性)이 강하므로 10회 안팎으로 우릴 수 있는 차를 생산한다. 향의 지속성이 좋고 맛이 오래 가며 쓴맛과 떫은맛이 있으나 입안에서 비교적 빠르게 사라진다.

출처: <건강을 마시는 습관, 보이차>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선재광

만성질환 전문 한의학 박사.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겸임교수, 경락진단학회 명예회장, 별뜸연구소 소장, 대한보구한의 원(서울 광진구 중곡동)의 대표원장이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한의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한한방병원 원장을 지냈다. 피 해독과 체온 상승을 통해 고혈압·당뇨·고지혈증·암·치매 등의 만성질환을 전문으로 치료하며 방송 활동과 강연, 임상 연구, 저술 활동도 의욕적으로 하고 있다. 
KBS 〈생로병사의 비밀〉, MBC 〈기분 좋은 날〉, SBS 〈좋은 아침〉, MBN 〈엄지의 제왕〉, JTBC 〈최고의 처방 미라클 푸드〉, 채널A 〈몸신〉 등 건강 프로그램에 출연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현재 TV조선 〈퍼펙트라이프〉에 고정 출연하고 있다. 

저서로는 《피 해독으로 만성질환 치료하기》, 《고혈압 치료, 나는 혈압약을 믿지 않는다》, 《당뇨병 치료, 당뇨약에 기대지 마라》, 《고지혈증, 약을 끊고 근본 치료하라》, 《척추만 잘~ 자극해도 병의 90%는 낫는다》, 《독소를 배출하고 혈액을 맑게 하는 물 건강법》, 《체온 1도의 기적》, 《선재광의 쑥뜸, 생명의 빛-건강과 장수의 길》 등 다수가 있다.

대한보구한의원 _ http://dh.boguclinic.com
별뜸연구소 _ http://dh.boguclinic.com
유튜브 _ 한방N

● 지은이 _맹선숙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생리학교실 석사 취득 및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대한한의원을 공동 개원하고 죽향한의원, 별뜨는한의원, 선숙한의원의 대표원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대한보구한의원의 원장이다. WBS(원음방송)의 〈몸 건강 마음 건강〉 라디오 상담코너를 진행했으며, 안성 지역에 티 테라피 문화를 소개하기도 했다. 차의 놀라운 치유 효과를 많은 사람에게 전하고자 티 테라피 유튜브 채널인 ‘선숙한여인’을 운영하고 있다. 
유튜브 _ 선숙한여인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