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학의 항암 치료와 방사선 치료는 극심한 고통을 안겨주는 것은 물론 스트레스를 키우고 우울과 불안의 정도를 높이는 등 환자의 마음을 혼란에 빠뜨린다. 심지어 자살 위험성도 높이는데, 독일 연구팀이 200만 명의 암 환자를 분석한 결과 항암 치료와 방사선 치료 이후에 자살 위험성이 일반인보다 무려 85%나 높아졌다.

이 정도면 치료 과정이 몸과 마음을 다스리고 회복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더 극심한 고통 속으로 밀어넣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완치되더라도 암의 재발과 전이의 두려움을 안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그로 인한 고통은 끝없이 이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 놀라운 사실은, 암을 치료한 뒤 재발과 전이를 걱정하는 것만으로도 사망 위험성이 무려 6.8배나 커지고 삶의 질 또한 현저히 낮아졌다는 점이다.

이는 2019년 삼성서울병원 연구진이 암 치료가 끝난 환자 467명을 대상으로 6년간 추적한 결과이다. 이 결과는 역시 마음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는 동시에, 암세포의 제거에만 신경 쓰고 정작 치료 이후 암 환자의 완전한 회복과 생활 습관의 개선에는 신경 쓰지 않는 의료가 어떤 결과를 낳는지를 알려준다.

출처: <암의 완전치유로 가는 길>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선재광

만성 질환 전문 한의학 박사. 대한보구한의원(서울 광진구 중곡동)의 대표 원장이다.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암·치매 등의 만성 질환을 피 해독과 체온 상승을 통해 치료하며, 방송 활동과 강연, 임상 연구, 저술 활동도 의욕적으로 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한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한한방병원 원장을 지냈으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겸임 교수, 경락진단학회 명예회장, 별뜸연구소 소장이다.
http://dh.boguclinic.com

● 지은이 _이혁재

양·한방 협진으로 암 환자를 치료하는 리체한방병원의 병원장. 《동의보감》을 기반으로 직접 개발한 ‘병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암 환자들의 잘못된 생활 습관과 환경에서 비롯된 병인을 치료해서 암의 완전 치유를 돕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대구한의대 한의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병인(病因)을 연구하여 한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외래 교수와 임상 교육 협력 기관 지도 교수를 지냈으며, 대한병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http://www.reche.co.kr

 

Posted by 전나무숲
,

사람은 공포를 느끼면 불필요한 행동을 하거나 과잉 대응을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돈이 낭비된다. 암 환자들도 마찬가지다. 2017년에 서울대 의대의 한 교수는 암 관련 포럼에서 불필요한 검사가 이뤄지고, 이로 인해 돈이 낭비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전체 의료비의 3분의 1 이상은 불필요한 검사와 2~3차 항암제 사용 등으로 낭비되고 있을 것이다. (중략)

환자가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줘야 효과 없는 항암제를 무분별하게 쓰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제약회사는 항암제의 가격을 담합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2022건강 사회를 위한 약사회는 성명서를 통해 제약회사가 가격 담합은 물론 특정 회사의 독점권을 유지해 주기 위해 항암제를 출시하지 않는 행위까지 벌였다.”고 밝혔다.

또 특허가 만료된 이후 경쟁사의 항암제 출시를 막아서 가격 인하를 방해하는 악질적인 사건까지 있었다고 전했다. 암 보험을 판매하는 보험 업계는 또 다른 공포 마케팅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다. 매일 TV에서 암 보험 상품 광고가 수시로 나온다. 보험 가입에 대한 생각이 없는 사람조차 광고를 보고 있자면 자신의 건강이 저절로 걱정되고, 노년에 암으로 고통받을 것 같은 생각이 들 정도다. 심지어 특정 보험은 곧 절판된다.’는 식으로 보험 가입을 부추기고, ‘암은 경제 질병이다.’라는 신조어까지 만들며 경제적인 좌절까지 얹어서 암에 대한 두려움을 키운다.

출처: <암의 완전치유로 가는 길>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선재광

만성 질환 전문 한의학 박사. 대한보구한의원(서울 광진구 중곡동)의 대표 원장이다.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암·치매 등의 만성 질환을 피 해독과 체온 상승을 통해 치료하며, 방송 활동과 강연, 임상 연구, 저술 활동도 의욕적으로 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한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한한방병원 원장을 지냈으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겸임 교수, 경락진단학회 명예회장, 별뜸연구소 소장이다.
http://dh.boguclinic.com

● 지은이 _이혁재

양·한방 협진으로 암 환자를 치료하는 리체한방병원의 병원장. 《동의보감》을 기반으로 직접 개발한 ‘병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암 환자들의 잘못된 생활 습관과 환경에서 비롯된 병인을 치료해서 암의 완전 치유를 돕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대구한의대 한의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병인(病因)을 연구하여 한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외래 교수와 임상 교육 협력 기관 지도 교수를 지냈으며, 대한병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http://www.reche.co.kr

 

Posted by 전나무숲
,

암은 신체에만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암 진단으로 생기는 극심한 정신적 트라우마는 일반인의 유병률을 훨씬 뛰어넘는다. 2018년 영국 의학저널(The BMJ)에 따르면, 암 환자가 정신적 문제에 시달리는 경우는 일반인보다 23배 더 많다. 특히 한국인들은 정신적 스트레스에 더 취약한 성향을 보인다. ‘너무 힘들다’라고 호소하는 암 환자가 서양인은 30~40%이지만, 한국인은 50%나 된다.

그러나 환자 보호자나 의료진들은 ‘암이 낫지 않는 이상 우울증은 낫지 않는다’라고 여겨서 암세포를 없애는 것만 신경 쓸 뿐, 암 환자의 정신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중요한 사실은 이런 정신적인 문제가 암 치료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정신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환자는 치료에 대한 의지가 강하고 체력도 강해서 항암 치료나 수술의 후유증을 비교적 잘 견디지만, 정신적으로 약한 암 환자는 부수적인 치료가 더해져 의료 비용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암 환자의 ‘생명 연장에 대한 의지’도 치료에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극심한 우울과 자포자기에 다다른 암 환자들은 생명 연장에 의미를 두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가족에 대한 미안함이 커지면서 ‘오래 살아봐야 민폐만 끼친다’는 생각을 하기에 이른다. 여기에 경제적 부담이 가중된다면 절망적인 생각은 더 깊어진다.

출처: <암의 완전치유로 가는 길>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선재광

만성 질환 전문 한의학 박사. 대한보구한의원(서울 광진구 중곡동)의 대표 원장이다.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암·치매 등의 만성 질환을 피 해독과 체온 상승을 통해 치료하며, 방송 활동과 강연, 임상 연구, 저술 활동도 의욕적으로 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한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한한방병원 원장을 지냈으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겸임 교수, 경락진단학회 명예회장, 별뜸연구소 소장이다.
http://dh.boguclinic.com

● 지은이 _이혁재

양·한방 협진으로 암 환자를 치료하는 리체한방병원의 병원장. 《동의보감》을 기반으로 직접 개발한 ‘병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암 환자들의 잘못된 생활 습관과 환경에서 비롯된 병인을 치료해서 암의 완전 치유를 돕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대구한의대 한의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병인(病因)을 연구하여 한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외래 교수와 임상 교육 협력 기관 지도 교수를 지냈으며, 대한병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http://www.reche.co.kr

 

Posted by 전나무숲
,

암은 다른 질병과는 다르게 죽음과 닿아 있다.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1, 2, 3, 4기로 구분되다 보니 점차 죽음으로 향해 가는 것 같고, 무엇보다 말기라는 진단은 삶의 절벽에 서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이처럼 암 진단은 고혈압이나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을 진단받는 것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암이 풍기는 이런 압도적인 공포감 때문에 암 진단을 받으면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로 거론되고, ‘삶의 질이나 생명 연장은 부차적인 문제로 여겨지는 것이 사실이다. 암 환자 스스로도 고작 몇 달 더 살 텐데라며 자포자기하게 되고, 통증이 심하면 약물로 가라앉히기 바빠 삶의 질을 개선해야겠다는 의지를 갖지도 못한다.

그러나 삶의 질과 생명 연장은 암의 극복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분으로, 특히 한의학이 가장 잘하는 분야이다. , 한의학 치료는 암과의 싸움에서 최후의 보루이며, 암에 반격을 가할 수 있는 중요한 터닝 포인트이다.

출처: <암의 완전치유로 가는 길>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선재광

만성 질환 전문 한의학 박사. 대한보구한의원(서울 광진구 중곡동)의 대표 원장이다.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암·치매 등의 만성 질환을 피 해독과 체온 상승을 통해 치료하며, 방송 활동과 강연, 임상 연구, 저술 활동도 의욕적으로 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한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한한방병원 원장을 지냈으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겸임 교수, 경락진단학회 명예회장, 별뜸연구소 소장이다.
http://dh.boguclinic.com

● 지은이 _이혁재

양·한방 협진으로 암 환자를 치료하는 리체한방병원의 병원장. 《동의보감》을 기반으로 직접 개발한 ‘병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암 환자들의 잘못된 생활 습관과 환경에서 비롯된 병인을 치료해서 암의 완전 치유를 돕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대구한의대 한의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병인(病因)을 연구하여 한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외래 교수와 임상 교육 협력 기관 지도 교수를 지냈으며, 대한병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http://www.reche.co.kr

Posted by 전나무숲
,

뜸 치료와 온열 요법은 열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비슷하지만, 구체적인 치료 방법은 다소 차이가 있다. 뜸은 신체에 직·간접적으로 열을 가하지만, 온열 요법은 고주파 등의 방법을 활용해 체내 열을 올린다. 뜸은 기가 흐르는 특정 경락과 경혈을 중심으로 열을 가하는 반면, 온열 요법은 몸의 일부 혹은 전체에 열을 가한다.

특히 고주파 온열 요법은 종양 조직에 42~43의 열을 가해 선택적으로 암세포를 괴사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제내경에는 정기존내 사불가간(正氣存內 邪不可干)’이라는 말이 있다. 몸 안에 기운이 충만하면 나쁜 기운이 들어올 수 없다는 의미로, 온열 요법의 핵심을 잘 표현하고 있다. 온열 요법의 역사는 아주 오래됐다. 기원전 3000년 전 이집트에서 유방암에 온열 요법을 시행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다.

당시에는 불로 따뜻하게 덥힌 돌이나 흙을 몸에 대어 통증이나 염증을 치료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문명이 발달하는 동안 서양에서는 이러한 온열 요법에 관한 연구와 발전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반면 우리 한민족은 유일하게 열을 통해 병을 치료하는 온돌 문화를 만들어냈다.

출처: <암의 완전치유로 가는 길>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선재광

만성 질환 전문 한의학 박사. 대한보구한의원(서울 광진구 중곡동)의 대표 원장이다.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암·치매 등의 만성 질환을 피 해독과 체온 상승을 통해 치료하며, 방송 활동과 강연, 임상 연구, 저술 활동도 의욕적으로 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동 대학원 한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한한방병원 원장을 지냈으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겸임 교수, 경락진단학회 명예회장, 별뜸연구소 소장이다.
http://dh.boguclinic.com

● 지은이 _이혁재

양·한방 협진으로 암 환자를 치료하는 리체한방병원의 병원장. 《동의보감》을 기반으로 직접 개발한 ‘병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암 환자들의 잘못된 생활 습관과 환경에서 비롯된 병인을 치료해서 암의 완전 치유를 돕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대구한의대 한의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병인(病因)을 연구하여 한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외래 교수와 임상 교육 협력 기관 지도 교수를 지냈으며, 대한병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http://www.reche.co.kr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