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이야기/마음의 평화를 부르는 법'에 해당되는 글 42건

  1. 2009.08.26 내 생각이 나에게 스트레스를 일으킨다! 19
  2. 2009.08.01 혹시 나도 우울증? 체크리스트와 극복법 11


살다보면 무지하게 받는 것이 ‘스트레스’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말이죠....이 스트레스라는 것이...

사실은 당신 스스로가 당신에게 일으키고 있는 것이라면? 

물론 우리들은 대부분의 스트레스가 ‘나 이외의 것들’이 유발시킨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일면 그것이 사실이기도 합니다.

짜증나는 상사, 소통이 안되는 부모, 얄미운 동료, 바람둥이 애인,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 주어지는 일, 도대체 내 맘대로 되지 않는 세상사까지.

Why Microsoft Owning Flickr is No Worse Than Today's Yahoo Ownership of Flickr, And Why In Fact Microsoft Ownership Might Even Be a Little Better
Why Microsoft Owning Flickr is No Worse Than Today's Yahoo Ownership of Flickr, And Why In Fact Microsoft Ownership Might Even Be a Little Better by Thomas Hawk 저작자 표시비영리

그래서 나를 ‘공격’하는 그 스트레스가 미워지고, 때로는 회피하고 도망가고 싶기 까지 합니다. 그런데 중요한 건, 도망간다고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세상 끝까지 도망간다고 하더라도, 결국 자신의 마음까지 세상 끝까지 따라간다는 점에서 회피와 도망은 모든 일에 있어서 결코 바람직한 해결법이 아닐 수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또 한편으로 스트레스는 내가 스스로 나에게 주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자신의 생각이 바뀌지 않는 한, 세상의 모든 일은 스스로에게 짜증나는 일이고 스트레스입니다.

단적으로 말하면,

   내 생각이 바뀌면 세상이 바뀐다.
  보는 방법이 다르면 똑같은 사물도 전혀 다르게 보인다.

세상을 바꾸고 사물을 바꾸는 간단한 방법이기도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스스로가 스스로에게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사고방식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아마도 그것을 알 수 있다면, 그래서 자신에게 그런 생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포착하기만 한다면, 우리는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좀 더 손쉬운 방법을 찾아낼 수 있지 않을까요?

바로 그러한 사고 방식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과도한 일반화

얼마 되지 않는 사실을 들어 그것이 마치 일반법칙인 것처럼 결론을 내린다.
→ ‘A는 두 번 실수를 했다. A에게 일을 맡기면 반드시 실수할 것이다’

■ 이분법적 사고⋅흑백 논리

사물이나 현상이 애매한 상태로 있는 것을 견디지 못하여 항상 명확하게 흑백으로 구분하지 않으면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
→ ‘내 말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 자는 모두 적이다’

■ 개인화

어떤 안 좋은 일이 일어나면 실제로는 그 일과 아무 관련이 없는데도 자신의 책임으로 돌리고 자신을 탓한다.
→ ‘그가 병이 난 것은 내가 찬바람을 쐬게 해서다’

과대평가⋅과소평가

사소한 일을 부풀려서 크게 생각하거나 반대로 필요 이상으로 낮게 평가한다.
→ ‘상사의 미움을 받으면 이 회사에서는 살아남지 못한다’

당위적 사고

자신이나 타인의 언동을 ‘꼭 이러해야 한다’거나  ‘이렇게 되어야 한다’고 단정 짓는다.
→ 여자는 얌전해야 된다.

고정관념⋅선입관

실제 무언가를 해 보기도 전에 미리 앞서 아무 근거도 없이 사람이나 일의 가능성을 한정해 버린다.
→ 어차피 난 무얼 해도 잘 안 될 거야.

재앙적 사고

실제로는 사소한 실패인데도 되돌릴 수 없는 최악의 실패를 했다고 느낀다.
→ 대학 입시에 실패하면 모든 것이 끝이다.

임의적 추론

상대가 딱히 어떤 말을 했거나 행동을 한 것도 아닌데 상대의 마음이나 의도를 마음대로 추측한다.
→ ‘모두들 나를 바보로 생각하고 있는 거야’

그런데 말이죠, 이런 생각들은 우리가 일상에서 상당히 많이 하고 있습니다. 좀 더 일상에 가까운 언어들로 한번 바꿔볼까요?

“하, 이거 할 수 있을까? 안되면 정말 큰 일나는데” (재앙적 사고)
“아우, 저 사람은 도대체 왜 저러는 거야? 짜증나게” (이분법적, 흑백논리)
“그래봐야 소용도 없어. 내가 다 해봤어” (임의적 추론)
“이 회사가 뭐 되겠어?” (고정관념, 선입관)

따지고 보면 우리는 끝없이 위와 같은 생각을 하면서 스스로를 스트레스의 함정에 빠뜨리고 있는 건 아닐까요?

스스로가 걸어가서 빠지는 함정, 그리고 그것에서 허우적대는 감정, 또다시 그 감정은 또다른 함정을 만들고, 자신의 마음과 정서는 더욱 피폐해지는 과정… 바로 이러한 것이 ‘스트레스의 악순환’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이 악순환을 끊을 수 있는 방법은 정녕 없을까요?

한 가지 방법을 추천해 드립니다. 그것은 바로,

    Stop & Thinking !
   일단 멈추고, 생각하라! 

사실 생각이라는 것은 거의 무의식에 가까울 정도로 즉각적입니다. 상황이 닥치면 즉각적으로 반응해 앞에서 열거했던 임의적 추론, 과대평가, 흑백논리, 고정관념, 개인화의 잘못된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일단 스트레스가 감지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면 그 즉시 생각을 멈추고 이렇게 생각해보시죠.

“잠깐! 근데 혹시 이건 내 선입관 아니야?”
“잠깐! 지나친 흑백논리일 수 있지 않을까?”
“잠깐! 이거 너무 당위적인 생각 아니야?”

자신의 생각을 반추하는 시간이 긴 사람일수록, 자신을 되돌아보는 횟수가 많은 사람일수록 더욱 지혜롭고 현명한 사람, 그리고 행복한 사람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Laughing Donkey
Laughing Donkey by jaxxon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자, 우리 함께 해보시죠.

Stop & Thinking !


Posted by 전나무숲
,

혹시 요즘 이런 말을 달고 살지는 않으십니까?  

         아, 요즘 왜 이렇게 우울하지 ?!

때로는 습관처럼 말하지만 어쩌면 그것은 실제로 무서운 우울증으로 가는 징조일지도 모릅니다.

우울증을 ‘무섭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아주 정확한 말인 것 같습니다.

최근에도 우울증을 앓아온 20대 여성이 4개월 된 딸과 투신자살을 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물론 우리들이 알고 있는 많은 스타들의 죽음 뒤에도 바로 이 우울증이라는 녀석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나 우울해’라고 말한다고 모두 우울증은 아니니 너무 걱정하지 마십시오.


다음의 체크리스트를 하나 하나 체크하다보면 자신의 상태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행복감을 느끼지 못한다.

  ● 자주 슬픈 생각이 든다.
  ●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다.
  ● 울고 싶어진다.
  ● 자신을 무가치하다고 생각한다.
  ● 과거의 자신이 부끄럽다. 또는 과거에 저지른 일에 자책감을 느낀다.
  ● 자신을 비난하는 마음이 강하다.
  ● 매사에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
  ● 의욕이 없다.
  ● 어떤 일에도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
  ● 삶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한다.
  ● 쉽게 피곤하다.
  ● 식욕이나 성욕이 없다.
  ● 자신의 건강이 염려된다.
  ● 자살을 생각한다.

정도가 심하면 2점, 보통이면 1점, 그렇지 않으면 0점으로 계산합니다.

만약 합계 점수가 10점 이상이라면 우울 상태 또는 우울에 가까운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혹시 위 진단 결과가 10점 이상이었다고 해도 침울해하지는 마십시오.

술마신다고 우울이 해결되면 세상에 우울한 사람없습니다.


미래에 아무런 희망을 갖지 못하거나 결단을 잘 내리지 못하거나 의욕이 일어나지 않거나 하는 기분의 상태가 우울증 증상의 하나인 것은 맞지만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인지요법’이라는 것을 통해 우울증을 충분히 이겨낼 수 있습니다. 가끔씩 ‘우울해’라는 생각이 들 때마다 생각의 전환을 이뤄내면 분명 활기찬 생활을 할 수 있을테니까 말이죠.

자, 그럼 우울증이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을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사물을 부정적이고 왜곡되게 바라보는 사고방식에 있습니다.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면 궁지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하는 개념은 오래 전부터 있었습니다. 

             세상만사 마음 먹기 나름이다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한다

이 개념의 바탕에는 ‘그 상황 자체는 선도 악도, 성공도 실패도 아니며 당신이 그것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선이나 악, 성공 또는 실패, 행복이나 불행 등이 결정된다’고 하는 논리가 깔려 있습니다.

    " 현실이 아니라 현실을 어떻게 보느냐가 인간을 고민하게 만든다 "

                                                                  - 그리스의 철학자 에피쿠테토스

   “이 세상에는 선도 악도 없다. 단지 네가 그렇게 생각할 뿐”

                                                                    - 셰익스피어, 『햄릿』 중에서

많은 우울증 환자가 보이는 공통적인 특성 중의 하나는 자신의 인생관이나 감정을 고집하고 그것을 끝까지 관철시키려는 경향이 크다는 것입니다.

지금 당신에게 우울 증상이 있다고 합시다. 당신은 자신에게 무언가 매우 안 좋은 일이 일어났고 그 때문에 자신이 이렇게 우울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을지 모릅니다.

그런데 그게 과연 사실일까요? 당신이 그렇게 해석하고 있거나 또는 그렇게 해석하는 자신의 사고방식이 옳다고 믿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요?

그러한 사고의 경향은 다음과 같은 성향에서 비롯됩니다.


● ‘예스’ 아니면 ‘노’의 이분법적 사고방식
● 보편화(‘특정한 그 무엇’이 ‘모든 것’이라는 쉽게 단정짓는 사고방식)
● 곧바로 결론을 내려고 한다.
● 사물을 과대 또는 과소 평가한다.
● 어떤 일에 대해서 ‘꼭 그래야만 된다’고 생각한다.
● 무조건 선입견부터 갖는다.
● 자신에게만 있거나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혹시라도 나는 재능이 없으니까, 매력이 없으니까, 성공하지 못했으니까 지금 행복하지 못하다고 생각하고 있지는 않나요? 아니면 어릴 때 친구들에게 따돌림을 당한 적이 있기 때문에 또는 부모의 그릇된 양육방식 때문에 성장 후에도 무엇이든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믿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문제는 당신이 내린 이런 결론들이 사실은 모두 ‘당신의 생각’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

‘나는 재능이 없으니까 행복하지 못한 것이다’라는 생각은 ‘나는 재능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상태)하지 못한 것이다’로 바꾸어 말할 수 있습니다.

‘왜 재능이 없다고 생각하는가?’, 아니 ‘도대체 그 재능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들은 아예 무시되고 있습니다. 매력이 없으니까, 성공하지 못했으니까 지금 행복하지 못한 것이라는 결론도 마찬가지입니다.

여기서는 ‘매력이란 무엇인가?’, ‘누가 나를 매력 없다고 단정 지었나?’, ‘성공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왜 스스로를 성공하지 못한 사람이라고 판단하는가?’라는 문제들이 여전히 미해결인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인간의 가치는 지위나 금전으로 매겨지는 것이 아니며 행복도 그런 것과는 별개입니다. 마찬가지로 인간의 가치는 겉으로 드러난 아름다움이나 추함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므로 그런 것으로 매력이 있고 없음을 말할 수는 없습니다.

혹시 자신만의 생각에 지나치게 갇혀 있는 건 아닐까요?


그러나 그 사실을 모르는 바 아닌데도 우리는 부와 성공을 갈망하며 외모의 아름다움과 육체적 매력을 추구합니다. 미남 미녀라고 꼭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면서도 ‘그거야 물론 그렇지만 그래도 예뻤으면 좋겠다’고 하는 것이 인간의 본심이지요.

그런데 이런 생각에 집착하면 스스로를 과소평가하게 되고 자긍심을 잃어 결국은 사물의 어두운 면만 바라보게 됩니다. 그리고 이 어둡고 부정적인 사고가 우울감을 유발합니다.

다른 예를 들어 볼까요?

“내가 하는 일은 늘 이 모양이야”라거나  “나 같은 사람에게 무슨 가치가 있을까?”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문제는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실제로는 결코 무능하지도 않고 과거에 형편없는 짓만 저지른 것도 아니라는 점입니다. 단지 스스로를 무능한 인간으로 생각하고 있을 뿐입니다.

스스로를 비하하는 버릇은 우울 상태를 초래할 뿐 바람직한 결과를 불러오는 일은 결코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다르게 보이고, 그것은 또다시 자기 자신을 보는 다른 눈을 키워줍니다. 

우울하다고 생각되세요? 과연 현재 스스로가 하고 있는 생각이 올바르지, 혹은 그것이 단지
당신 자신만의 생각은 아닌지, 우선 되돌아볼 일입니다 ^^ 

     
 참고 : <마음을 즐겁게 하는 뇌 : 불안과 우울을 없애주는 9가지 치유 호르몬> 
  (저자 : 다카다 아키카즈 (뉴욕 주립대학 조교수, 하마마츠(浜松) 의과대학 교수, 동 대학 명예교수 )

  [ 인간의 건강한 삶과 문화를 한권의 책에 담는다 - 도
서출판 전나무숲 ]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