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사이에 의료사고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옛날 같으면 어떤 이야기든지 '의사선생님'에게 머리를 조아리던 경우가 많았지만, 요즘에는 '법적 소송'까지 벌어지는 일이 허다합니다.

하지만 의료사고가 발생했다는 것은 이미 환자가 치명적인 상태에 놓여 회복 불능상황에 진입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가장 중요한 것은 의료 사고를 예방하는 일, 보다 정확하게는 나와 가족의 병을 가장 잘 치료해줄 '좋은 의사선생님'을 찾는 일일 것입니다.

<도서출판 전나무숲 블로그>에서는 2회에 걸쳐 '좋은 의사 선택법'을 연재합니다. 동국대 의대를 졸업하고 서울 아산병원에서 일을 했으며 의사와 한의사 자격증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백태선 선생님이 집필한 <양한방 똑똑한 병원이용>(전나무숲 출간)을 참고했습니다. / 편집자 주

 ● '진료과목'이라고 해서 그 분야를 전공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임상의학은 경험주의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험이 풍부한 의사일수록 의학적 지식을 넘어선 치료의 노하우도 많은 편이다. 해당 분야의 경험이 많을수록 대체로 실력도 있다고 할 수 있다.

Marielle Carving Francinaldo's Ear
Marielle Carving Francinaldo's Ear by interplast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의사의 임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경력을 살펴보자. 담당 의사가 자신이 진료할 질병의 전문의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일차적으로 병의원의 간판과 내부에 붙어 있는 전문의 자격증을 통해 의사의 경력을 알아볼 수 있다.

병원 간판에는 전문과목과 진료과목이 표기되는데, 이 가운데 전문과목을 확인하자. 예를 들면 전문과목은 내과지만 진료과목에는 소아과, 피부과 등 의사가 원하는 대로 표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병원 간판에 ‘홍길동 성형외과 의원’이라고 표기되어 있다면 전문의이고, 일반의의 경우는 ‘홍길동 의원 진료과목 성형외과’라고 표기한다.

우리나라 현행 의료법에서는 전문의가 자신의 전공과 무관한 진료과목을 상호에 같은 크기로 연결해서 표기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전문과목과 진료과목을 혼돈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특정 전문과목 외에 진료과목은 의사가 원하는 대로 표기가 가능하다. 따라서 진료과목을 많이 적어 둔 병원이라고 해서 실력 있는 병원이라는 뜻은 아니다.

 ● 진료경험과 함께 '수련병원'이 어딘지도 중요하다

병원 대기실에는 대개 담당 의사의 이력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것을 꼼꼼하게 살펴보자. 우선 의사가 어느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는지, 어느 병원에서 수련(인턴, 레지던트 과정)을 했는지, 진료 경험은 얼마나 되는지를 알아보자. 의료계에서 수련 병원은 출신 대학 못지않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대학병원, 특히 특정 진료과목이나 질환으로 유명한 병원에서 수련한 의사가 좋은 학습과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고 볼 수 있다.

임상 경험이 중요하기 때문에 의사의 나이도 고려 대상이다. 임상 경험이 많은 의사일수록 질병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능숙하게 다룬다. 특히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병일 경우 해당 분야의 풍부한 경험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의료계에서는 대체로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고 5년 정도 임상 경험을 해야 전문가로 인정하고 있다.

 ● 학회의 일반 회원은 큰 의미가 없다.

요즘은 의학박사 학위를 가진 의사들이 많은데, 박사 학위에 대해 지나치게 높이 평가할 필요는 없다. 의학박사는 다른 분야의 박사학위보다 취득 과정이 수월한 편이며, 많은 병 가운데 특정한 질병 하나를 연구해서 학위를 받은 것에 불과하다.

국내외 학회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하는 의사라면, 자신의 분야에서 좀 더 많은 전문성을 쌓기 위해 노력하는 의사라고 볼 수 있다. 여러 학회의 회원임을 강조한 의사들도 많은데, 일반 회원은 큰 의미가 없다.

이사나 학술위원 이상이면 실력을 인정할 만하다. 학회에서 어떤 논문을 발표하고 연구했는지는 병원에 비치된 자격증, 병원 홍보물,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학회 활동을 왕성하게 한다는 것은 새로운 의학적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의사라는 말일 것이다.

 ● 병에 대해 잘 모를 때 약을 많이 쓰는 경우도 있다.

의사들이 과잉 진료를 하는 경우는 상업적인 마인드가 강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해당 치료에 대해 자신감이 없을 때도 대체로 과잉 진료를 하게 된다.

해당 질병에 대해 잘 모르거나 확신이 없을 경우, 검사나 약 처방을 두루 해보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과잉 진료를 하게 되고, 그로 인해 환자가 치료의 부작용을 겪기도 한다. 따라서 검사나 약, 주사 등을 비교적 적게 쓴다는 것은 그만큼 직업의식이 뛰어나다는 것이며, 그 병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Advil
Advil by selva 저작자 표시비영리

좋은 의사라면 환자의 증상과 몸 상태를 면밀하게 관찰해 꼭 필요한 치료만 최소한으로 할 것이다. 또한 환자의 면역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몸 전반에 큰 부담을 주지 않는 방법으로 치료를 해 나갈 것이다. 대량으로 약을 처방하거나 주사를 남용하거나, 불필요한 검사나 수술을 권하는 일 또한 없을 것이다.

감기처럼 시간이 지나면 대개 자연치유 되는 질환이면서 뚜렷한 치료약이 없는 경우, 계속 병원에 오도록 요구하기보다는 의학적 처방을 최소한으로 하고 생활관리 요령을 설명해 주는 의사가 좋은 의사이다.

그런데 간혹 주사나 약을 적게 준다고 불평하는 환자도 있다. 과잉 치료에 세뇌된 환자들이다. 최소의 치료가 좋은 치료라는 사실을 의료 소비자 역시 알아야 할 것이다.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