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처럼 흙이 날아올라 초미세먼지(PM2.5)가 되는 현상을 막는 데는 식물이 매우 중요하다. 식물은 땅에 뿌리를 내려 지면을 단단하게 하는 구실만 하지 않는다. 특히 낙엽수는 잎이 지면에 떨어져 쌓이면 수분을 머금는데, 그 영향으로 흙이 촉촉해져 날리지 않는다. 그리고 나무의 잎과 껍질은 초미세먼지(PM2.5)를 붙들어서 떠돌아다니지 않게 한다.

이같이 숲에 보존된 물기, 나무의 잎과 껍질 등은 초미세먼지(PM2.5)가 생기고 떠도는 현상을 막아준다. 미국의 한 연구팀은 북서부 지역의 삼림을 조사했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한다. ‘낙엽수가80% 이상인 숲에서는 초미세먼지(PM2.5)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크기가 작은 잎이 큰 잎보다 초미세먼지(PM2.5)를 붙들어두는 효과가 크다’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큰잎’ 이란 이파리가 크고 두꺼워서 한 잎의 무게가 작은 잎보다 무거운 것이었다. 작은 잎과 큰 잎을 같은 무게로 여러 개 모아서 각각의 면적 합계를 견주면 작은 잎의 면적이 더 크다. 면적이 크면 그만큼 초미세먼지(PM2.5)를 더 붙잡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연구에서는 ‘중량당 얼마’라는 식으로 초미세먼지(PM2.5)를 붙드는 양을 비교한 탓에 작은 잎이 유리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기본적으로는 겉넓이가 같으면 붙잡는 양도 같다.

식물은 나이가 적을수록 숨 쉬는 횟수가 많다. 그러므로 초미세먼지(PM2.5)를 빨아들여서 붙잡아두는 능력은 젊은 식물이 늙은 식물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잎의 표피에 털 모양의 돌기(털이 나 있는 듯한 잎)가 있으면 초미세먼지(PM2.5)를 붙드는 능력이 커진다.

이는 여러 겹의 섬유로 만든 마스크가 초미세먼지(PM2.5)를 걸러내는 데 더 유리한 원리와 같으며, ‘걸리는 부분’이 많으면 많을수록 초미세먼지(PM2.5를 더 많이 붙잡을 수 있다. 인구가 증가하면서 농지와 방목지가 확대되고, 그로 인해 세계 어딜 가든 마구잡이로 삼림을

 벌채하고 토양을 파헤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앞으로는 초미세먼지(PM2.5)의 대책으로써 삼림의 구실을 인정하고 숲을 보존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단행본 참조)

출처 : <은밀한 살인자, 초미세먼지 PM2.5> (도서출판 전나무숲)

저자 : 이노우에 히로요시

1961년 출생. 규슈(九州)대학 대학원 이학연구과 박사 과정 수료 후 야마구치(山口)대학 의학부 조교, 구루메(久留米)대학 의학부 교수 등을 거쳐 현재는 게이오기주쿠(慶應義塾)대학 의학부 교수로 근무 중이다. 비영리법인 ‘신세기 교육 연구회’의 이사장도 맡고 있다.
1990년대부터 의약품을 개발하면서 미세먼지 PM2.5와 나노 입자의 합성 및 안전성을 연구하였으며,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란 주제로 강연 및 해설 활동도 벌이고 있다. 게이오기주쿠대학에 부임한 이후 매년 ‘최고 교수’로 뽑혔으며, 교수법이 친절하다고 정평이 나 있다. 그 밖에 신문, 잡지 등에 글을 싣고 ‘세계에서 제일 받고 싶은 수업’, ‘이른 아침’, ‘하나마루(はなまる) 시장 정보’ 등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도 출연한다. 2010년에 문부과학성 장관 표창인 과학기술상(이해 증진 부문) 등을 받은 바 있다.
저서로 《최첨단 의료기기를 잘 알 수 있는 책》[아크(ア?ク) 출판], 《먹어도 살이 빠지는 아몬드 다이어트력》[쇼가쿠칸(小?館)], 《개정판 방사선의ABC》(사단법인 일본방사성... 동위원소협회),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메디컬 리뷰(medical review)사와 분담 집필], 《알고 싶어! 의료 방사선》[게이분샤(慧文社)/편저) 등이 있다.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