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급하고 충동적인 아이의 부모라면 아이가 건전한 자아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일찍부터 개입해야 한다. 아이를 대하는 태도에 섬세한 주의를 기울여라. 아이의 작은 성공에도 칭찬을 해줘라. 아이가 배울 수 있는 복잡한 일을 여러 단계로 쪼개서 가르치고 한 단계씩 성공할 때마다 칭찬하라. 학교에 다니는 나이가 되었다면 아이에게 식사 준비 돕기와 같은 집안 일을 시키는 것이 성취감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캔을 따서 내용을 그릇에 담는 작은 일이라도 좋다. 아이가 자신이 중요한 사람이라고 느끼고 자신감을 갖고 독립심을 기를 수 있도록 도우라. 아이가 도와주면 작은 일이라도 기쁘다고 말해주고 칭찬해주어라. 내가 자주 쓰는 양육법 중 하나가 아이가 있는 곳 바로 옆방에서 일부러 아이가 들을 수 있도록 칭찬하는 것이다. 아이가 아주 가끔씩 부정적인 말을 하면 무릎에 앉히고 아이의 기분을 물어보라.

이때는 아이가 자기 연민성 발언이나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발언을 완전히 멈춘 후에 질문하라. 그러한 행동을 멈추면 아이가 자신에 대해 좋게 생각하지 않을 때는 안아주고 위로하고 안심시켜주어라. 아이가 잘할 수 있는 것들을 이야기해주고 긍정적인 부분과 장점을 찾아 생각해보자고 하자. 부모가 해주는 위로의 말이 아이가 긍정적인 자아상을 키우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아이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말을 할 때는 칭찬을 많이 하고 꼭 안아주어라. 아이가 긍정적인 말투와 근면한 학습 태도,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부모가 본을 보여라. 아이가 잘하면 더 잘하도록 잘하는 행동을 강화하라. 이런 예방적인 조치를 취하면 아이는 결코 ADDADHD 진단을 받지 않을 것이며 리탈린을 먹을 일도 없을 것이다.

출처: <ADHD는 병이 아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데이비드 B.스테인 (David B. Stein)

ADD 진단과 ADHD 판정을 받은 두 아들을 둔 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 정신의학과 교수이다. 강단에서 소아정신병리학과 행동수정학을 가르치고, 현재 아동 장애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정신약리학 수업도 하고 있다. 뉴욕시립대학 브루클린칼리지에서 학사를 받고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Posted by 전나무숲
,

내가 우리 아이가 처방받은 약이 완전히 안전하다고 믿었다면 아이에게 약을 먹이는 것에 반대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이 약물에 대한 현대 의학의 연구 수준은 아주 초보적인 단계이며 나는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위험에 빠뜨리면서까지 약의 안전성을 실험하고 싶지는 않다. 처음엔 완전히 안전한 줄 알았는데 나중에 유해함이 밝혀진 약들을 기억하는가? 탈리도마이드를 보라.

기형아를 낳는 원인이 될 수도 있음이 밝혀진 1960년대까지 임산부에게 진정제로 처방되었다. 엑스랙스(Ex-Lax)는 어떤가? 1997년 쥐 실험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된 변비약 엑스랙스는 의사의 처방전 없이도 구입할 수 있던 약이었다. 리탈린이 비교적 순한 각성제라고들 한다. 하지만 1988년 연방정부통제법에서 리탈린을 코카인, 아편, 모르핀과 같은 등급인 스케줄로 분류했음을 기억해야 한다.

스케줄는 오용과 중독 위험성이 높은 약물을 모은 목록이다. 중독의 위험성에 더하여 다른 심각한 부작용도 있음을 알아두어야 한다. 이 약들이 행동을 조절하는 뇌 부분에만 작용할까? 아니다. 뇌뿐만 아니라 몸 구석구석으로 퍼져 투여 목적과 관계없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예상치 못한 부작용은 약 복용 후 즉시 혹은 몇 주 내에 나타나는 단기 부작용과 수년 동안 잠복하다가 발현되는 장기 부작용으로 분류된다.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를 비롯한 각성제를 복용한 아동은 불면증(우리 아들 케빈이 겪었다), 잦은 울음, 자극 예민성, 성격 변화, 초조함, 피부 발진, 열병, 메스꺼움, 어지러움, 두통, 심계항진(비정상적인 심박 속도), 운동 장애(혀와 안면 근육 운동 이상), 졸음, 혈압 변화, 심장 부정맥(케빈이 겪었다), 협심증(가슴 통증), 복통(역시 케빈이 겪었다)과 같은 단기 부작용을 겪을 위험이 있다.

출처: <ADHD는 병이 아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데이비드 B.스테인 (David B. Stein)

ADD 진단과 ADHD 판정을 받은 두 아들을 둔 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 정신의학과 교수이다. 강단에서 소아정신병리학과 행동수정학을 가르치고, 현재 아동 장애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정신약리학 수업도 하고 있다. 뉴욕시립대학 브루클린칼리지에서 학사를 받고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Posted by 전나무숲
,

주의산만 및 품행불량 아동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자아존중감이 낮습니다.

첫째, 이 아이들은 충동적이고 남을 불쾌하게 하는 행동을 해서 종종 다른 아이들에게 놀림의 대상이 됩니다. 다른 아이들이 놀려서 이성을 잃고 불같이 화를 내면 그것이 더욱 큰 웃음거리가 됩니다.

둘째, 부모와 교사가 이런 아동을 종종 바보나 게으름뱅이라고 부릅니다. 다행히도 대부분의 교사나 부모들은 그런 잔인한 대우를 피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분노, 실망, 경멸을 나타내는 작은 표정 하나도 아이에게는 강력한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이를 명심해야 합니다. 어른들이 의도치 않게 그럴 수 있습니다. 표정과 몸짓은 숨기기 어려운 자연스러운 반응이지만, 아이들의 정서 발달에 크나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셋째, 아동의 자기 비하, 자기 연민성 발언이나 부정적인 발언은 내면화되어 자신의 진짜 생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어른이 아이의 그런 말투를 보고 관심이나 동정을 보이거나 아이가 원하는 대로 하게 하면, 아무리 의도하지 않았을지라도 그런 말투를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그런 식으로 한 번씩 강화될 때마다 말투는 말버릇으로 굳어집니다. 반복해서 계속 그런 말을 하다 보면, 아이들은 자신이 진짜 기분이 저조한 것과 그런 척한 것을 구분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시간이 갈수록 거의 항상 저조한 기분 상태가 됩니다.

출처: <ADHD는 병이 아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데이비드 B.스테인 (David B. Stein)

ADD 진단과 ADHD 판정을 받은 두 아들을 둔 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 정신의학과 교수이다. 강단에서 소아정신병리학과 행동수정학을 가르치고, 현재 아동 장애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정신약리학 수업도 하고 있다. 뉴욕시립대학 브루클린칼리지에서 학사를 받고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의 전미 심리학명예학생연맹 대표를 맡았고, 테네시대학교 건강과학센터의 임상 조교수, 멤피스 정신의학연구소 외 여러 정신의학센터 연구원, 미시시피대학교 메디컬센터에서 레지던트를 마친 뒤 현재 롱우드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로 있다. 25년 경력의 의사이기도 한 그는 교육자, 저자, 연사, 청소년쉼터 심리상담사이자 멤피스 개인 정신치료센터 원장으로도 활동하며 초·중·고교생부터 대학생, 대학원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대상을 지도하고 있다.

《1998년 미국 교사 후즈후(Who’s Who Among American’s Teachers, 1998)》와 《1998년 저명한 미국인(Outstanding Americans, 1998)》에 등재되었으며, 미국 정신의학 보건서비스 제공자 국가등록심사위원회 위원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미국 남부에서 최초로 이혼 극복 치료 단체를 조직해 국민정신보건 기여공훈(National Contributions to Mental Health)을 받기도 했다. 저서로 반항적인 청소년을 위한 종합적인 행동치료 전략을 다룬 《다루기 힘든 청소년 통제하기:10대를 위한 실질적인 경제 시스템》이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아이의 문제행동을 바로잡으려면, 그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해둘 필요가 있다. 바로잡으려는 문제행동을 표적 행동(target behavior)이라고 한다. 표적 행동이란 아이가 올바르게 행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신경써서 지켜봐야 할 행동이다.

그리고 부모 역할 훈련에서 다루는 행동의 목록과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에 수록된 증상을 비교할 것이다. 초점을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에 실린 증상에서 부모 역할 훈련의 행동 목록으로 옮기는 것이 이 책의 혁신적인 부분이다. 그리고 주의산만 및 품행불량 아동들을 개선하는 데 이러한 관점의 변화가 필요한지 이유도 살펴볼 것이다. 또 부모 역할 훈련의 표적 행동을 정확히 살펴볼 것이다.

그래서 이 장을 다 읽으면 아이의 어떤 행동을 고쳐야 할지 명확히 알게 될 것이다. 표적 행동이 사라지면 주의산만 및 품행불량 증상도 사라지고 리탈린을 먹어야 한다는 압력도 더 이상 받지 않을 것이다. 주의산만 및 품행불량 아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어떤 행동을 통제해야 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다.

출처: <ADHD는 병이 아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데이비드 B.스테인 (David B. Stein)

ADD 진단과 ADHD 판정을 받은 두 아들을 둔 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 정신의학과 교수이다. 강단에서 소아정신병리학과 행동수정학을 가르치고, 현재 아동 장애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정신약리학 수업도 하고 있다. 뉴욕시립대학 브루클린칼리지에서 학사를 받고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의 전미 심리학명예학생연맹 대표를 맡았고, 테네시대학교 건강과학센터의 임상 조교수, 멤피스 정신의학연구소 외 여러 정신의학센터 연구원, 미시시피대학교 메디컬센터에서 레지던트를 마친 뒤 현재 롱우드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로 있다. 25년 경력의 의사이기도 한 그는 교육자, 저자, 연사, 청소년쉼터 심리상담사이자 멤피스 개인 정신치료센터 원장으로도 활동하며 초·중·고교생부터 대학생, 대학원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대상을 지도하고 있다.

《1998년 미국 교사 후즈후(Who’s Who Among American’s Teachers, 1998)》와 《1998년 저명한 미국인(Outstanding Americans, 1998)》에 등재되었으며, 미국 정신의학 보건서비스 제공자 국가등록심사위원회 위원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미국 남부에서 최초로 이혼 극복 치료 단체를 조직해 국민정신보건 기여공훈(National Contributions to Mental Health)을 받기도 했다. 저서로 반항적인 청소년을 위한 종합적인 행동치료 전략을 다룬 《다루기 힘든 청소년 통제하기:10대를 위한 실질적인 경제 시스템》이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주의산만 및 품행불량 아동의 사고방식이나 인지 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아이들을 다루는 열쇠가 된다. 이 아이들의 가장 기본적인 사고방식은 앞서 일어날 일을 미리 예상하거나 스스로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그때마다 일일이 가르쳐주거나 달래고 재촉하면 인지 의존성을 강화할 뿐 아니라 아동에게 너는 무능력하고, 스스로 생각할 수 없으며, 병에 걸렸고 일생 동안 리탈린과 남의 도움을 받으며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만 전달될 뿐이다.

켄들과 브라스웰(1985)은 주의산만 및 품행불량 아동은 스스로 생각하기보다는 대부분 감정적으로 행동하거나 반응한다고 지적했다. 자신이 지금 무슨 행동을 하고 있는지, 자신의 행동이 주변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생각해보려고 멈추지 않는다. 자신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도 생각하지 않는다. 이런 인지 방식은 주의력 문제의 3가지 요소인 보기, 듣기, 기억하기와 연관이 있다.

다시 말해 기억하지 못한다는 건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과 같다. 부모나 교사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해온 기존의 방식은 아동의 이러한 특성을 오히려 강화할 뿐이다. 그리고 아이에게 자기는 스스로 할 줄 아는 게 하나도 없고, 항상 도움이 필요하다는 의식만 심어줄 뿐이다.

출처: <ADHD는 병이 아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데이비드 B.스테인 (David B. Stein)

ADD 진단과 ADHD 판정을 받은 두 아들을 둔 아버지이자 정신과 의사, 정신의학과 교수이다. 강단에서 소아정신병리학과 행동수정학을 가르치고, 현재 아동 장애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정신약리학 수업도 하고 있다. 뉴욕시립대학 브루클린칼리지에서 학사를 받고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버지니아 코먼웰스대학의 전미 심리학명예학생연맹 대표를 맡았고, 테네시대학교 건강과학센터의 임상 조교수, 멤피스 정신의학연구소 외 여러 정신의학센터 연구원, 미시시피대학교 메디컬센터에서 레지던트를 마친 뒤 현재 롱우드대학교 심리학과 부교수로 있다. 25년 경력의 의사이기도 한 그는 교육자, 저자, 연사, 청소년쉼터 심리상담사이자 멤피스 개인 정신치료센터 원장으로도 활동하며 초·중·고교생부터 대학생, 대학원생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대상을 지도하고 있다.

《1998년 미국 교사 후즈후(Who’s Who Among American’s Teachers, 1998)》와 《1998년 저명한 미국인(Outstanding Americans, 1998)》에 등재되었으며, 미국 정신의학 보건서비스 제공자 국가등록심사위원회 위원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미국 남부에서 최초로 이혼 극복 치료 단체를 조직해 국민정신보건 기여공훈(National Contributions to Mental Health)을 받기도 했다. 저서로 반항적인 청소년을 위한 종합적인 행동치료 전략을 다룬 《다루기 힘든 청소년 통제하기:10대를 위한 실질적인 경제 시스템》이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