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엉뚱한 과학자들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습니다. 영양과 환경이 적당한 시험관에 건강한 세포와 무서운 기세로 자라는 암세포를 함께 넣은 뒤, 암세포가 얼마 만에 건강한 세포를 다 잡아먹어 치우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예상과는 반대로 암세포가 서서히 건강한 세포에게 다 잡아먹히고, 결국 건강한 세포만이 시험관 속에 왕성하게 살아 있었습니다. 

무한히 증식해가는 암세포의 힘이 아주 강력하다고 믿었던 의학계는 이 실험 결과에 깜짝 놀랐습니다. 연구 결과 정상 세포의 17번 염색체에는 암세포를 잡아먹는 종양 억제인자 ‘P53’ 단백질과 ‘P73’ 단백질이 활동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그렇다면, 시험관 속에서는 이처럼 정상 세포가 암세포를 이기는데 사람의 몸속에서는 왜 암세포에게 지는 것일까요? 이는 시험관 속의 환경은 정상 세포에 최적의 환경이었지만, 사람의 몸속 환경은 정상 세포가 지내기에는 너무 열악하기 때문입니다. 그 열악한 환경이란 게 무엇인지 알고 싶지 않습니까?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자율신경계의 하나인 교감신경에서 즉각적으로 여러 반응을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줄이 풀어진 큰 개 한 마리가 한적한 길에서 당신 앞에 떡 버티고 서 있다고 합시다.

출처: <암, 마음을 풀어야 낫습니다>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김종성

목사이면서 국내 최초 심신의학 암 전문가이다. 두 개의 길을 걷느라 학부 과정으로 철학과 신학 8년, 석사 과정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4년, 박사 과정으로 국내외 세 대학에서 9년간 공부했다. 마지막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심신의학을 수련함으로써 신학, 철학, 심리학, 신경과학, 내분비면역학, 심신의학까지 방대한 지식을 축적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에게 최고의 대학은 30대 초반 불치병으로 1년간 죽음의 문턱을 여러 번 넘나든 것인데, 이후 환자의 아픔을 몸으로 알게 되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신통합의학과(현 연구소 승격) 외래교수로 일했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등에서 심신의학을 강의했다.

KBS TV <생로병사의 비밀>, KBS 라디오 <건강하게 삽시다>에 연재로 출연하기도 했다. 지금은 암 재발 예방 프로그램 <캔미션 생명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5개 국어를 쉽게 훈련하는 ‘한글로영어’ 대표이기도 하다. 대표 저서로 《의사 예수》와 영문판 《Doctor JESUS》, 《한글로 5개 국어 물려준 엄마 이야기》 외 다수가 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암을 극복하는데 무슨 윤리 타령이냐고 할지 모르겠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문제를 잘 살펴보면 분명 윤리적 전제가 깔려 있다. 암환자에게 필요한 윤리는 바로 책임의식과 주도적 태도라고 생각된다

우선 암은 누가 만들었고 어디에 생겨 있는지를 생각해보자. 암은 바로 암환자의 몸 상태가 만들었고, 그 몸을 관리한 주체는 환자 본인이다. 물론 환자 자신도 통제할 수 없었거나 알지 못했던 다양한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때문에 암이 생겼을 수도 있지만 그 이유가 어떻든 암환자의 몸에 암종양이 생긴 것은 분명한 현실이며, 그것을 해결해야 하는 것도 환자 자신이다


그런데 많은 암환자들이 자신에게 생긴 암종양을 다룰 때 자기는 책임도 능력도 없는 것처럼 한 발 뒤로 물러서고 돈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의사들은 암을 치료하는 데 있어 암환자가 할 일이 거의 혹은 전혀 없고 다만 의사와 병원이 하는 말을 잘 따르라고 말한다

암종양은 환자 자신이 만들었는데 정작 해결은 다른 존재, 즉 병원이 전적으로 해주길 기대하고 또 그렇게 해줄 것처럼 의료기관은 처신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존적 태도가 더 큰 비극을 불러온다.

암환자들은 자신이 만든 결과물인 암종양에 대한 책임감은 별로 느끼지 않고 다만 그 대가만 지불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처럼 생각하는 비윤리적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

암환자는 싫든 좋든 암종양을 자기 책임 하에 자신의 몸에 만들었음을 인정하고, 암 치료를 할때 주도적으로 임해야 한다. 그런 결자해지의 자세를 가지는 것이 암 환자가 지녀야 할 윤리이며, 그 태도가 바로 암을 극복하는 첩경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단행본에서]

출처:<암이래, 어떡하지?> (전나무숲 출판사)


저자 _  신갈렙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하고 (주)이랜드에서 11년간 대표이사로 근무 
● 비즈너리로서, 선교단체 BTC와 킹덤컴퍼니의 연합체 BAMCO(Business as Mission Cooperation) 대표
● ‘암환자의 친구들’(http://cafe.naver.com/cancerfriends/) 대표 
● 저서 : 하늘기업가 비즈너리 / 암, 투병하면 죽고 치병하면 산다 / 행복한 암 동행기 
암 치유 여정 & 암환자 관련 활동들 
● 2006년 4월 : 첫 암 진단(지방육종) 
● 2006년 10월 : 암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고, 뒤이어 24회의 고강도 방사선 치료를 받음 
● 2006년 12월 : 암종양이 폐로 전이됐다는 진단을 받음 
● 2007년 1월~ : 사회활동을 중단하고 공기 좋은 강원도 한 산골 마을로 가서 오래 된 한옥을 수리, ‘아둘람’이라 이름 붙이고 식이요법과 자연요법을 병행하면서 요양생활을 시작 
● 2007년 2월 : 모든 림프절과 다른 장기로 다발성 전이가 되어 말기 암 진단 
● 현대의학적인 암 치료의 한계를 인식하고 대안 탐색을 적극적으로 하다. 
● 2009년 11월 10~13일 : 암환자들을 위한 제1회 세미나 개최 (장소: 아둘람) 
● 이후로 암종양 상태를 확인하러 가는 경우 외에는 병원에 가지 않고 스스로 암을 다스리며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 
- 암환자들을 위한 세미나와 캠프를 정기적으로 개최 
- ‘암환자의 친구들’을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시키고 있음 
- 자연치유 마을인 ‘아둘람공동체’ 설립을 추진 중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암종양이 너무 크거나 종양으로 인해 몸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거나 삶의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면 수술을 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수술에 들어가기 전에는 수술을 할 때 어느 부위를 얼마나 절제하는지, 그렇게 했을 경우 치러야 할 대가가 무엇인지, 수술 후 부작용은 무엇인지,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지, 그 부작용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극복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평생을 감내하며 또 다른 조치( 호르몬제 복용 등) 를 해야 하는 것인지 등을 검토해야 한다. 

그 다음으로 생각할 점이 암종양 절제의 정도다. 일단 수술실에 들어가고 나면 환자는 그 어떤 결정에도 관여할 수 없다. 물론 의사가 보호자와 상의하겠지만 대부분 의사가 주도적으로 결정하기 쉽다

그렇기에 만약의 상황을 대비해서 가이드라인을 생각하고 의사에게 부탁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술을 집도하는 의사마다 수술하는 스타일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어떤 의사는 보이는 모든 암종양을 가능한 절제하고, 어떤 의사는비록 보이는 암을 다 절제하지 않더라도 환자의 생존 가능성과 삶의 질 등을 고려해서 소극적으로 절제하기도 한다.

그것은 의사가 중점적으로 보는 것이 암종양인지 환자의 생명력인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추천을 하자면 상대적으로 덜 공격적으로 수술을 하는 의사에게 수술을 받든지, 그것이 어려우면 수술하는 의사에게 덜 공격적으로 수술을 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암종양 못지않게 정상 세포들도 중요하고, 무엇보다 내 생명력이 암을 극복하게 도와줄 것이기 때문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단행본에서]

출처:<암이래, 어떡하지?> (전나무숲 출판사)


저자 _  신갈렙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하고 (주)이랜드에서 11년간 대표이사로 근무 
● 비즈너리로서, 선교단체 BTC와 킹덤컴퍼니의 연합체 BAMCO(Business as Mission Cooperation) 대표
● ‘암환자의 친구들’(http://cafe.naver.com/cancerfriends/) 대표 
● 저서 : 하늘기업가 비즈너리 / 암, 투병하면 죽고 치병하면 산다 / 행복한 암 동행기 
암 치유 여정 & 암환자 관련 활동들 
● 2006년 4월 : 첫 암 진단(지방육종) 
● 2006년 10월 : 암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고, 뒤이어 24회의 고강도 방사선 치료를 받음 
● 2006년 12월 : 암종양이 폐로 전이됐다는 진단을 받음 
● 2007년 1월~ : 사회활동을 중단하고 공기 좋은 강원도 한 산골 마을로 가서 오래 된 한옥을 수리, ‘아둘람’이라 이름 붙이고 식이요법과 자연요법을 병행하면서 요양생활을 시작 
● 2007년 2월 : 모든 림프절과 다른 장기로 다발성 전이가 되어 말기 암 진단 
● 현대의학적인 암 치료의 한계를 인식하고 대안 탐색을 적극적으로 하다. 
● 2009년 11월 10~13일 : 암환자들을 위한 제1회 세미나 개최 (장소: 아둘람) 
● 이후로 암종양 상태를 확인하러 가는 경우 외에는 병원에 가지 않고 스스로 암을 다스리며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 
- 암환자들을 위한 세미나와 캠프를 정기적으로 개최 
- ‘암환자의 친구들’을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시키고 있음 
- 자연치유 마을인 ‘아둘람공동체’ 설립을 추진 중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암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암세포의 특성을 잘 알고 대처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암세포는 일반적으로 세포의 사멸주기를 어기고 무한히 증식하는 고장난 세포라고 할 수 있다

의학적인 관점에서 암세포는 계속 무한증식의 신호를 보내고, 자연사를 거부하고, 영속 복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주변 조직에 침윤과 전이를 하고, 암 억제 작용을 회피하는 능력을 스스로 만들어가는 세포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정보들은 의학적으로는 의미가 있지만 일반 암환자가 암을 극복하는 데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그러면 일반 암환자가 알아야 할 암세포의 특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첫째, 암세포는 태아세포와 같이 아주 빠르게 분화한다. 이 특성을 이용해서 빠르게 분화하는 세포를 공격하는 화학독극물이 항암제라고 할 수 있다. 또 요즘 주로 사용하는 표적치료제는 상기한 암세포의 특징 중에서 한두 가지를 공격하는 것인데, 그중둘째, 암세포는 저산소세포 또는 혐기성 세포다

암은 산소가 부족한 신체에서 주로 생성되고 성장한다. 그래서 암환자들은 공기 중 산소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서 요양하는 것이 유리하며, 공기 중 산소를 더 많이 섭취하기 위해 심호흡과 유산소운동을 자주 해야한다

그러나 아무리 공기 좋은 곳에서 산소를 많이 흡입해도 몸이 산소를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 안 되기 때문에 몸과 마음을 산소 교환비율이 높은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몸이 산성 체질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하고, 용서하지 못한 문제들을 빨리 풀어서 몸이 산소를 잘 받아들이게 만들어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단행본에서]

출처:<암이래, 어떡하지?> (전나무숲 출판사)


저자 _  신갈렙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하고 (주)이랜드에서 11년간 대표이사로 근무 
● 비즈너리로서, 선교단체 BTC와 킹덤컴퍼니의 연합체 BAMCO(Business as Mission Cooperation) 대표
● ‘암환자의 친구들’(http://cafe.naver.com/cancerfriends/) 대표 
● 저서 : 하늘기업가 비즈너리 / 암, 투병하면 죽고 치병하면 산다 / 행복한 암 동행기 
암 치유 여정 & 암환자 관련 활동들 
● 2006년 4월 : 첫 암 진단(지방육종) 
● 2006년 10월 : 암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고, 뒤이어 24회의 고강도 방사선 치료를 받음 
● 2006년 12월 : 암종양이 폐로 전이됐다는 진단을 받음 
● 2007년 1월~ : 사회활동을 중단하고 공기 좋은 강원도 한 산골 마을로 가서 오래 된 한옥을 수리, ‘아둘람’이라 이름 붙이고 식이요법과 자연요법을 병행하면서 요양생활을 시작 
● 2007년 2월 : 모든 림프절과 다른 장기로 다발성 전이가 되어 말기 암 진단 
● 현대의학적인 암 치료의 한계를 인식하고 대안 탐색을 적극적으로 하다. 
● 2009년 11월 10~13일 : 암환자들을 위한 제1회 세미나 개최 (장소: 아둘람) 
● 이후로 암종양 상태를 확인하러 가는 경우 외에는 병원에 가지 않고 스스로 암을 다스리며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 
- 암환자들을 위한 세미나와 캠프를 정기적으로 개최 
- ‘암환자의 친구들’을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시키고 있음 
- 자연치유 마을인 ‘아둘람공동체’ 설립을 추진 중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암을 극복하는 과정이 고통스러운 이유는 파괴적인 방법으로 암종양만 제거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나의 경우 멜라네시아인의 관점에서 친화적으로 암을 극복하려는 시도를 하고 나서부터 암 치료의 과정이 삶의 질을 높여주는 아주 좋은 계기가 되었고, 암 치료는 더 이상 고통스럽지 않았다

그래서 행복한 암 동행기를 쓰게 되었다.앞에서 예로 들었던 노사 갈등과 파업을 떠올려보자. 당신이 회사의 경영자라고 가정하고, 당신의 회사에 파업이 발생하면 당신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파업한 노조를 강제로 진압하기 위해 무조건 공권력을 투입할 것인가? 물론 그렇지 않을 것이다.

당신은 우선 노동자들의 요구 조건이 무엇인지를 들을 것이다. 만일 그들의 요구가 정당하고 회사 입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흔쾌히 그 요구조건을 수용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협상과 설득의 과정을 당연히 거칠 것이고, 때에 따라서는 협박과 회유를 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면 몸의 세포가 파업을 일으켰을 경우에 병원에서는 어떻게 할까? 파업을 일으킨 몸에게 파업, 즉 암종양을 만든 이유가 무엇이고무엇을 원하는지를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다. 무조건 공권력을 동원해서 강제적으로 해산하는 일, 즉 수술과 방사선, 항암치료를 한다

그래서 암환자의 삶은 그만큼 고달프다. 병원에서는 왜 이렇게 대응을 하는 것일까? 암이라는 문제를 대립적이고 분석적이고 정복적으로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단행본에서]

출처:<암이래, 어떡하지?> (전나무숲 출판사)


저자 _  신갈렙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하고 (주)이랜드에서 11년간 대표이사로 근무 
● 비즈너리로서, 선교단체 BTC와 킹덤컴퍼니의 연합체 BAMCO(Business as Mission Cooperation) 대표
● ‘암환자의 친구들’(http://cafe.naver.com/cancerfriends/) 대표 
● 저서 : 하늘기업가 비즈너리 / 암, 투병하면 죽고 치병하면 산다 / 행복한 암 동행기 
암 치유 여정 & 암환자 관련 활동들 
● 2006년 4월 : 첫 암 진단(지방육종) 
● 2006년 10월 : 암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받고, 뒤이어 24회의 고강도 방사선 치료를 받음 
● 2006년 12월 : 암종양이 폐로 전이됐다는 진단을 받음 
● 2007년 1월~ : 사회활동을 중단하고 공기 좋은 강원도 한 산골 마을로 가서 오래 된 한옥을 수리, ‘아둘람’이라 이름 붙이고 식이요법과 자연요법을 병행하면서 요양생활을 시작 
● 2007년 2월 : 모든 림프절과 다른 장기로 다발성 전이가 되어 말기 암 진단 
● 현대의학적인 암 치료의 한계를 인식하고 대안 탐색을 적극적으로 하다. 
● 2009년 11월 10~13일 : 암환자들을 위한 제1회 세미나 개최 (장소: 아둘람) 
● 이후로 암종양 상태를 확인하러 가는 경우 외에는 병원에 가지 않고 스스로 암을 다스리며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하고 있다. 
- 암환자들을 위한 세미나와 캠프를 정기적으로 개최 
- ‘암환자의 친구들’을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시키고 있음 
- 자연치유 마을인 ‘아둘람공동체’ 설립을 추진 중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