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된장인 미소는 찐 콩을 황국균 등으로 발효 숙성시킨 것이다. 미소 1g에는 생균이 100만에서 1000만 개 함유되어 있다. 콩은 영양가가 뛰어나지만 생콩 상태로는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그런데 콩을 된장으로 만들면 황국균, 효모, 유산균의 작용으로 분자가 큰 영양소가 분해되어 작아지면서 소화흡수율이 크게 증가한다.

된장은 예부터 건강식품으로 여겨져 왔다. 최근에는 ‘미소된장국을 먹는 빈도가 높을수록 위암에 의한 사망률이 낮다’는 연구 결과와 된장의 건강 효과가 연이어 보고 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시판되는 된장은 산지의 이름을 딴 것이 많지만, 된장을 담그는 데 사용 하는 코오지 (麴) 라는 누룩의 종류로도 나눌 수가 있다. 코오지란 쌀, 보리, 콩 등에 황국균을 번식시킨 것으로 이를 각각 쌀누룩, 보리누룩, 콩누룩이라고 하며, 이것을 사용 해서 쌀 미소된장, 보리 미소된장, 콩 미소된장의 세 가지 유형의 된장이 만들어진다.

출처: <면역력을 높이는 밥상> (전나무숲 출판사)

● 지은이 _ 아보 도오루

1947년 아오모리(靑森)현에서 태어났으며 도호쿠(東北)대학 의학부를 졸업했다. 현재 니가타(新潟)대학 대학원 의치학 종합연구과 면역학·의동물 분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국제 감염의학 강좌·면역학·의동물학 분야). 

1980년 미국 앨라배마 주립대학 유학 중에‘인간 NK세포 항원 CD57에 대한 모노클로널 항체’를 개발했으며, 1989년에는 흉선외분화 T세포의 존재를 발견했다. 또한 1996년에 백혈구의 자율신경 지배 구조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고, 2000년에는 위궤양의 원인이 위산이 아닌 과립구 때문이라는 이론을 발표해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고 강연 및 저술 활동을 통해 면역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으며 활발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면역혁명』을 비롯해 『면역습관』, 『생활 속 면역 강화법』 『약을 끊어야 병이 낫는다』, 『면역진화론』 등이 있으며 다수의 저서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중의학의 기본 개념은 인간의 신체가 ‘기(氣)’, ‘혈(血)’, ‘수(水)’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받는다. ‘기’는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의기(意氣)나 기력(氣力) 같은 말에서 연상할 수 있듯이 생명 활동의 근원이 되는 에너지이며, 좁은 의미로는 ‘흐르는·따뜻한’ 존재로 인체에 작용하는 기체상의 물질을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좁은 의미에서 ‘혈’이란 혈액 속의 혈구 성분을 가리키고, ‘수’는 ‘진액(津液)’이라고도 불리며 혈청, 림프액, 타액 등 체내에 있는 액체를 가리킨다. 그러나 ‘기·혈·수’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인간의 신체를 구성한다는 사실을 이해하려면 그 각각의 요소를 좀 더 넓은 개념으로 파악해야 한다. 

이를테면 ‘혈’과 ‘수’는 ‘기’로 만들어지고 ‘기’의 에너지에 의해 체내를 순환한다. ‘혈’은 혈구 성분 외에도 혈청이라고 하는 ‘수’의 요소를 가지며 체내에서는 ‘기’도 포함한다. 넓은 의미의 ‘기’는 좁은 의미의 ‘기’와 ‘수’를 함께 갖는 큰 존재로 보면 된다. 가장 좋은 것은 ‘기·혈·수’의 양이 충분하고 온몸 구석구석까지 막힘없이 흐르는 것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의 단행본에서]

출처: <암환자를 살리는 항암 보양식탁> (전나무숲 출판사)


저자 _ 미이 도시코, 고타카 슈지 

미이 도시코 _ 1962년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났다. 상하이 중의약대학 일본캠퍼스 교수이며 도쿄 교육센터 소장과 치요다(千代田) 한방클리닉의 부원장을 맡고 있다. 1985년 상하이 중의약대학 의학부를 졸업한 후 상하이 시 중의병원 내과에 근무했다. 1990년에 일본에 건너가, 암 환자의 치료에 매진하면서 환자들에게 중의학의 지식과 약선요리의 효력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가정에서도 가족과 자신의 건강을 위해 약선요리를 즐긴다. 책에서는 주로 Part 2~5를 담당했다.

고타카 슈지 _ 1946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중의(中醫)클리닉·고타카의 원장이며 병설 동양의학 암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다. 1971년 도쿄의과치과대학을 졸업한 후 국립암센터 등에서 두경부(頭頸部) 영역에 발생하는 암의 외과를 담당했다. 수술 후에 일어나는 전이를 막을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을 찾지 못하던 현실 속에서 중의학을 알게 되었고, 환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상태에 따른 진단 치료야말로 암 치료에 필요하다는 신념을 갖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중의학을 연구하여 1988년부터 도쿄 도립 도시마(豊島)병원에서 중의학의 전문외래를 담당했다. 도쿄 도립 도시마병원 동양의학과 원장을 지내기도 했으며, 책에서는 주로 Part 1을 담당했다.


※ 인터넷 서점 및 전국 서점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안녕하세요^^ 김종성 목사입니다.

오늘은 암과 마음의 관계, 그리고 스트레스를 이길 수 있는 방법인 '프리즈 프레임' 기법에 대해서 한번 살펴볼까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암은 육체적인 질병'이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실제 암 환자들을
조사해본 결과, 상당수가 수개월에서 수년 전 충격적인 스트레스를 겪은 적이 있다고 합니다.

암은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려주고 있습니다.

자폐증 환자나 지능이 낮은 사람들은 좀처럼 암에 걸리지 않는다는 통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마음의 스트레스가 암의 원인임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암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긍정적인 생각이 무척이나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암을 부를 수도 있고, 암을 이길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It's Superman!


It's Superman! by Dude Crush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스트레스를 받는 순간 사용하면 좋을 ‘프리즈 프레임'기법을 소개합니다.
‘프리즈 프레임(freeze frame)은 원래 방송 촬영에 사용하던 용어입니다. 이를 응용하면 평생 병 없이 살 수 있는 멋진 도구가 될 것입니다. 

 프리즈 프레임 스트레스 대처방법

1. 스트레스를 받는 순간 마음속으로 ‘컷!’을 외쳐라

스트레스를 받는 순간 자신의 몸을 보면 숨이 거칠어져 있고, 목이 뻣뻣하고, 가슴이 답답할 것입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몸이 반응을 하는 것입니다. 대체로 화가 날 때 곧바로 생각 없이 화를 냅니다. 그러면 우리 몸은 나도 모르게 점점 더 상태는 나빠집니다. 이때를 놓치지 말고 속으로 ‘컷!’을 외치며 화를 차단해봅시다. 이러한 의식적인 노력은 생각보다 많은 효과가 있습니다.

스스로 스트레스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발휘하면 몸과 마음이 어느덧 그 강한 의지에 따라서 함께 움직이게 되는 것입니다.

양초
양초 by 멍충이 저작자 표시

2. 깊은 호흡을 세 번 하라

호흡은 몸에 놀라운 이완효과를 줍니다. 특히 복식호흡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는 의학적으로도 이미 검증이 되었습니다.

깊고 고르게 천천히 깊은 호흡을 3번 하면, 화는 바로 절반으로 줄어들 것입니다.

앞의 방법에서 일단 화를 순간적으로 멈춘 후, 깊은 호흡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안정시켜 봅시다.

3. 자신의 심장에게 물어보라

성령을 히브리어로 ‘루하’라고 하고, 헬라어로 ‘프류마’라고 합니다. 이들 모두 ‘호흡, 바람’이라는 뜻입니다. 기독교인이라면 깊은 호흡을 하며 내 속에 머문 하나님께 물으십시오. 기독교인이 아니라면 내 심장에게 물어 보십시오.

“저 사람이 내게 왜 화를 내고 있지요?”

“이 상황을 다른 각도로 볼 수 없을까요?”

당신의 마음 속으로 차분하게 생각하다보면 어느덧 상황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지고 객관적인 시각을 회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부정적인 생각은 애초에 차단하라

‘지각하겠는걸, 사장이 화낼 텐데 어떡하지’

‘나는 왜 이 모양일까’

‘나는 바보야’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이런 생각들을 할 것입니다. 이는 부정적인 생각입니다. 이때 약간만 방향을 바꿔보십시오. 긍정적인 생각을 내 몸과 마음에 꽉 채우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이는 스트레스를 조절해 주고 건강에도 도움을 줄 것입니다.

Posted by 전나무숲
,

오늘은 ‘암에 걸린다는 것’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가족이나 친구로부터 ‘나, 암에 걸렸어’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마치 청천벽력 같이 느껴지곤 합니다. 그래서 대부분 암에 대해서는 ‘갑작스레 다가오는 무시무시한 질병’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곤 합니다.

samhain (l´esquerda / la grieta /the crack )
samhain (l´esquerda / la grieta /the crack ) by all-i-oli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하지만 실제 의학적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리는 매일 암에 걸리고 있다’는 것이 맞는 이야기입니다.

노벨상 수상자인 오스트레일리아의 면역학자인 버닛 박사는 30세를 넘긴 인간의 체내에서는 하루에 수천에서 수만 개의 세포가 암세포로 변한다고 계산했습니다.

놀랍지 않습니까? 1년도 아니고, 6개월도 아니고, ‘매일!’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그것도 한두개의 암세포가 아니고 수천에서 수만개!

인간의 혈액 중에 있는 림프구의 약 20퍼센트는 자연살해세포 (NKcell:natural killer cell)인데, 이들이 암세포 같은 이상세포를 발견해서 죽이기 때문에 인간의 몸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NK세포는 암세포 뿐만 아니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역할도 합니다. 사실 인체는 ‘그 무시무시하다는 암’이나 가벼운 감기 증상이나, 모두 똑같은 방식으로 대합니다. 인체의 면역력은 그들 모두가 ‘인체에 해를 끼치는 세포’라는 것이죠.

우리는 여기에서 몇 가지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사실 암이라는 것이 그 자체로 절대로 저항할 수 없는 ‘사망선고’와 같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사실 암 역시 초기에는 가벼운 감기 증상과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것은 우리 몸이 그것을 이길 수 있냐, 없느냐의 문제, 그래서 암세포를 죽일 수 있으냐, 없느냐의 문제인 것입니다.

두 번째는 결국 우리는 매일 매일 암세포와 함께 살아간다는 것입니다. 하루에 수천에서 수만개의 암세포가 생긴다면, 약 5분 단위로 암세포가 수개에서 수십개가 생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겨운 친구와 커피를 한잔 마시는 시간에도, 사무실에서 회의를 하고 있는 그 순간에도, 집에 가서 귀여운 아기에게 뽀뽀를 하는 그 순간에도 우리 몸에서는 암세포가 생겨난다는 것입니다. 암으로 저쪽 편에서 도사리고 있다가 느닷없이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 생활과 함께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세 번째 교훈은 ‘갑작스러운 큰 스트레스 후에 암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라는 점입니다. 이는 앞의 이야기를 감안한다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우리 몸에 매일 암세포가 생긴다는 것은 그것을 막아주는 면역력이 비등비등한 힘을 유지하면서도 아직은 암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갑작스러운 큰 스트레스’라는 것이 이 힘의 균형을 순식간에 무너뜨리면서 암세포의 세력에 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살면서 스트레스를 받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앞서 버닛 박사는 개인이 암에 걸리고, 걸리지 않고는 ‘라이프 스타일’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식사, 수면, 영양, 흡연, 운동, 음주, 일, 스트레스 등 여덟 가지 건강습관이 NK세포의 활성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야기죠.

smoke
smoke by Locator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무엇이든 실체를 알고 나면 두렵지가 않습니다. 실체를 모를 때 두려움을 가지게 되는 것이죠. ‘무시무시한 암’이라는 것도 결국에는 매일 매일 우리의 일상 생활에 따라 걸리냐, 안걸리냐가 결정되어질 뿐입니다.

지금의 라이프 스타일을 바꾸는 것, 그것이 바로 암을 이기는 지름길입니다 ^^

Posted by 전나무숲
,


한 사람들의 캐릭터를 결정짓는 것은 대개 성격적인 부분입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성격과 그 사람을 결부시켜 이런 식으로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까칠한 정대리’
‘깐깐한 박대리’
‘의심 많은 문차장’ .....

성격이 그 사람의 캐릭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거죠. 그런데 이 성격은 그 사람이 얻게 되는 병과도 매우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격과 질병의 함수 관계를 연구한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의사이자 심신의학자인 프리드먼(Meyer Friedm)과 로젠먼(Roy H. Rosenman) 박사에 따르면, 심장병과 관련 있는 사람의 성격은 급하고, 화를 잘 내며, 경쟁적이고, 적개심이 강하다고 합니다.

그들은 이런 성격을 ‘A형(Type A) 성격’으로 명명했습니다. 이 성격의 소유자는 다른 성격에 비해 순환기 질환에 걸릴 확률이 약 6배 정도 높았습니다.

A형 성격과 달리, 분노의 불덩이를 마음 속에 묻어 두고 사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들은 암에 걸릴 확률이 5배 정도 높은 사람들이라고 하네요. 캘리포니아대학교의 심리학자 R. 테모쇼크(A.W. Temoshock)박사는 이 성격을 ‘C형 성격(Type C)’, 곧 ‘암 성격’이라 했습니다.

이 성격의 특징은 순종적이고 온화하며, 가슴에 맺힌 것을 풀지 못해 안팎으로 갈등을 겪습니다. 겉보기에는 온화한 성격의 소유자로 보일지라도 속에서는 불이 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그 불을 처리하는 방법을 모르고 있을 뿐이죠.

사람이 살다 보면 크든 작든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여기서 생긴 감정의 쓰레기를 어떻게든 처리는 해야 하는데, 밖으로 터뜨리자니 심장병이나 뇌 질환이 생기고, 안에 쌓아 두자니 암이 생기니 과연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부부싸움을 할 때 화를 잘 내며 이기는 쪽은 뇌-심장병이 잘 걸리고, 참고 져주는 쪽은 암이 잘 걸린다고 합니다. 살다보면 안 싸울 수도 없는 일이니 난감할 뿐입니다.

부부싸움을 하고 나면 감정은 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일단 부부싸움으로 인해 받았던 스트레스와 몸의 변화는 그리 쉽게 풀리지 않습니다.

사랑하는 가족, 감정을 앞세워 부부싸움을 하기 전에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우리가 이렇게 싸우게 되면 아내가 암에 걸릴지도 몰라’
‘남편이 나랑 싸워서 심장병에 걸리면 어떻게 하지?'

아무래도 싸움의 빈도가 조금은 줄어들지 않을까요 ^^


Posted by 전나무숲
,